earticle

논문검색

융복합 시대 한국 노인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원문정보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s among Korean Aged in the Convergence Era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김현심, 박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s among Korean aged on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death in the convergence era. The searched kew words were included aged, death education program,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Finally, 11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Death anxiety and death attitude were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publication type, total duration of intervention, and frequency of intervention were selected as moderator variables. The total of 11 papers were select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s of interventions.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was 1.07. The overall effect size showed death education program was able to lower death anxiety (Hedges’ g=1.30, 95% Cl=0.80∼1.80, p<.01) and improve attitudes to death (Hedges’ g=0.93, 95% Cl=0.49∼1.37, p<.01) compared with the no intervention group. In the moderator analysis to identify the cause of heterogeneit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frequency of intervention. We propose a study that repeatedly verifies the effect of related studies in the future by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노인’, ‘죽음교육 프로그램’, ‘죽음불안’, ‘죽음태도’ 등 주요어들을 병합하여 검색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1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죽음불안, 죽음태도를, 조절변인으로는 출판유형, 총 중재기간, 중재빈도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에 대한 죽음교육 프 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07로 나타났다. 그리고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죽음불안(Hedges’ g=1.30)은 낮추고, 죽음에 대 한 태도(Hedges’g=0.93)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증 결과, 모두에서 이질성 이 높게 나타났다. 이질성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절효과분석에서는 중재빈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이론적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추후 관련 연구의 효과를 반복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2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분석대상 문헌의 선정 기준 및 배제 기준
2.3 자료 검색 및 선정과정
2.4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연구의 비뚤림 위험 평가결과
3.2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 특성
3.3 효과크기
3.4 조절효과분석
3.5 출판편향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현심 Hyunsim Kim.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박슭 Seurk Park.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