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방우주력 발전을 위한 해상기반 우주영역인식체계 활용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Maritime-based SDA(Space Domain Awareness)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pace Power

배학영, 김주형, 임종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era of space exploration, all-round efforts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space power are continuing. Until now, Korea's space situation awareness has been led by three institutions: the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nd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So far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on maritime-based space awareness system. Currently, these institutions have raise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pace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o a significant level through their own efforts. However, land-based space situation awareness that covers only over the Korean Peninsula reveals various limitations. First, omnidirectional search is impossible, and second, land-based radar requires high power for long-distance search, so there is an adverse effect on the human body due to high-power radio wave radiation. Third, since it is operated in a fixed position, it is less efficient than the radar operated at sea, so it is vulnerable to a surprise attack from the enemy. Contrary to the limitations of land-based SDA assets, sea-based SDA assets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it can be free from the burden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second, it is not necessary to construct additional facilities for the radar system, so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in connection with the facility construction problem. Third, the mobility of the detection coverage is guaranteed as it is not fixed in maritime usage. Such maritime-based SDA power can utilize the assets already possessed by the navy, and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newly developed for better SDA in the future. Compared to the ground-based SDA system, which is difficult to properly build and requires a lot of budget, utilizing the 10 Aegis and KDDX ships that the Navy will have in the 2030s could be a very attractive option for the reinforcement of space power in Korea, where resources and time are limited.

한국어

우주대항해시대를 맞이하여 우주력 발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전방위적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우주영 역인식은 한국천문연구원, 항공우주연구원, 공군의 세 개 기관 주도로 이루어져 해상기반 우주감시에 대한 담론자체가 없었 다. 현재 이들 기관은 각자의 노력으로 한반도 주변에 대한 우주영역인식의 수준을 상당한 수준으로 높여 왔다. 하지만 한반 도 위만을 바라보는 육상기반 우주영역인식은 다양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첫째, 전방위 탐색이 불가하며 둘째, 육상기반 레이더는 장거리 탐색을 위해 높은 출력이 필요하므로 고출력의 전파 방사에 따른 인체 악영향이 있다. 셋째, 고정된 위치에 서 운용하기 때문에 해상에서 운용하는 레이더보다 효율성이 낮아 적으로부터의 기습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육상기반 우주 감시자산의 제한점에 반해 해상기반 우주감시자산은 다음의 장점이 있다. 첫째, 기지건설에 따른 부담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둘째, 레이더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추가 시설건설이 불필요하여 시설문제와 연계하여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셋째, 해상용은 고정이 되지 않아 탐지 범위의 유동성이 보장된다. 이러한 해상기반 우주영역인식 전력은 해군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활용할 수도 있고, 앞으로 보다 나은 우주영역인식을 위해 새로이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부분도 있다. 위의 장단점에서도 소 개되었지만 하나를 제대로 구축하기도 힘들고 예산도 많이 소요되는 지상기반 우주감시체계에 비해, 해군이 2030년대에 보 유하게 될 이지스함과 차세대 한국형 이지스구축함(KDDX) 함정 10여 척을 우주영역인식에도 활용하는 방안은 자원과 시간 이 한정된 우리나라의 우주력 건설을 위한 매우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초록
Ⅰ. 서론
Ⅱ. 미국의 우주영역인식체계
2.1. 美 우주감시체계(Space Surveillance Network)의 역사
2.2. 미 우주감시체계(Space Surveillance Network) 현황 및 발전추세
Ⅲ. 우리나라의 우주영역인식 능력
3.1 공군 우주정보상황실의 역할
3.2. 우주위협 대응을 위한 지휘통제체계
Ⅳ. 해상기반 우주영역인식체계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4.1. 육상기반 우주감시레이더의 한계
4.2. 해상기반 감시체계의 장점
4.3. 미국의 해상기반 감시체계
4.4. 우리나라의 해상기반 우주영역 인식체계 발전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배학영 Hackyoung Bae. 국방대학교
  • 김주형 Juhyung Kim. 대한민국해군
  • 임종수 Chongsu Lim. 대한민국해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