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적 자본으로서 복음의 공공성 연구 : 21세기형 프로테스탄티즘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Publicity of the Gospel as Social Capital : 21th Century Protestantism Research

김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that social capital as social virtues can be interpreted as the value of the kingdom of God, that is, the publicity of the Gospel, which is formed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and culturalization of the Gospel with transformative power at the social level beyond the personal level through work ethics and labor ethics. Therefore, it can be said still insufficient knowledge of human understanding to rely only on the realm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o establish humanity for the restoration of humanness and to identify social capital for soci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Until now, in the study of social capital, the spiritual realm and the role of Christianity, which occupie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is realm, have been neglected. Therefore, Christian theology can contribute to promoting interest in and research on social capital by meeting the need to bridge the gap between general studies and theology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long with the fields of social science. In the meantime, research on social capital has mostly focused on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an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society and economy. However, although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tself is multifaceted and related studies are relatively diverse,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that form social capital. Beginning with Robert D. Putnam's research on social networks and Francis Fukuyama's research on trust,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form social capital has only been conducted relatively recently. This study also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spiritual culture of Protestantism has formed the social capital of trust and cooperation through the publicity of the Gospel in these insufficient areas. Moral trust, especially emphasized as social capital, can only be explained as a universal perspective on humanity regarding the image of God. It can be said that this is different from the strategic trust and individual trust often discussed i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Francis Fukuyama, the social capital of trust is created when a community shares an systemic moral value structure that pursues a life of normal fairness and common sense. Since this is shared with the Protestant ethics emphasized by Max Weber, it can be asserted that this social capital of trust is based on the ethos of Protestantism as a Christian spiritual culture, that is, the norms of the kingdom of G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apital formed by Christian humanness, we must understand the biblical truths that constitute humanity. Therefore, in order for the modern society to properly understand the 21st century Protestantism,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knowledge of God is urgent for modern people. This paper emphasizes the argument that the mission for this is given to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community.

한국어

본 논문은 사회적 덕성으로서 사회적 자본을 복음이 직업윤리와 노동윤리를 통해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차원에서 변혁적 능력으로 사회화되고 문화화되는 과정 에서 형성되는 하나님 나라의 가치, 즉 복음의 공공성이라고 해석할 수 있음을 변증 하고자 한다. 그러기에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인간다움의 정립과 사회 발전과 통합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규명은 인문사회과학의 영역에만 의존하기에는 인간 이해에 대한 본질적인 지식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동안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에서 정신적 영역과 이러한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기독교의 역할은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기독교 신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와 더불어 다학제간 연구를 통해 일반 학문과 신학 간의 간극을 메울 필요성을 충족하여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동안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측정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본이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 자체가 다면적이고 관련 연구도 비교적 다양하게 많지만 사회적 자본의 형성 요 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별로 없다. 로버트 퍼트넘의 사회적 네트워크 에 대한 연구와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신뢰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비교적 최근에 들 어서야 사회적 자본의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도 이러한 미 진한 영역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신문화가 신뢰와 협력의 규범과 네트워크라는 사 회적 자본을 복음의 공공성을 통해 어떻게 형성하여 왔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적 자본으로서 강조되는 도덕적 신뢰는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인간다움 에 대한 보편적인 관점으로서만 설명되어질 수 있다. 이는 종종 사회적 자본에서 거 론되는 전략적 신뢰와 개별적 신뢰와는 차원이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후쿠야마에 의하면 신뢰의 사회적 자본은 공동체가 정상적인 공정과 상식의 삶을 추구하는 유기 적인 도덕적 가치체계를 공유할 때 조성된다고 강조한다. 이는 막스 베버가 강조하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공유하기에 기독교 정신문화로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에토스, 즉 하나님 나라의 규범에 근거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기독교의 인간성이 형성하는 사회 적 자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다움을 구성하는 성경적 진리를 이해해야 한다. 따 라서 현대사회가 21세기형 프로테스탄티즘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을 아 는 지식이 현대인들에게 절실함을 인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사명이 교회와 신학 공동체에 주어져 있다는 주장을 본 논문은 강조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현대사회에 필요한 인간다움의 정신문화 이해
1.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오류적 인간상
2. 사회적 덕성의 정신문화로서 사회적 자본의 필요성
III.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현대적 재해석
1. 복음의 공공성으로서 프로테스탄트 윤리
2. 하나님 나라의 규범으로서 프로테스탄티즘
IV. 21세기형 프로테스탄즘으로서 사회적 자본 이해
1. 하나님 나라의 공동선으로서 신뢰와 협력의 인간다움
2. 하나님 나라의 규범 형성으로서 직업과 노동을 통한 신뢰와 협력의 문화화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영 Kim, Mi-Young. 한세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목회사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