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울증 기독 청소년의 수치심 이해와 목회 상담적 치료방안 :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Understanding Shame of a Christian Adolescent with Depression and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s : Focused on Attachment Relationships

노바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sideration and treatment for a Christian adolescent with depression and shame in the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ed pastoral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recovering from shame. Shame is a basic human self-conscious emotio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elf-hatred, and dysfunctiona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ny clients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report feelings and experiences of shame. Adolescence is a period of experiencing many changes that affect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shame in adolescence was reviewed focusing on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relationship with God was also discussed in terms of spiritual shame. From infancy, individuals ten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about their values and evaluation from others, and this affects the formation of shame. From the viewpoin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he experiences of separation and loss during infancy and early childhood can lead to insecure attachment behaviors and negative self-image and interpersonal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s can be formed. Recent studies related to it show that individuals with insecure attachment experiences display symptoms of shame and anxiety. In relation to this, it was investigated that depression and shame in an adolescent K were related to negativ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s, insecure attachment with caregivers, and loss in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The Christian's recovery from shame is not to avoid feeling of shame, but to meet God and restore spiritual identity. Individuals who recovered from shame no longer remain in a state of shame.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God's precious children, and they see themselves as loving beings rather than loathing them. To restore from shame completely, a deep encounter with God and a deep realization of one's existence are essential. Approaching God, spiritual refocusing, spiritual awareness, facing shame, and strengthening new identity were dealt with as a necessary process in pastoral care and healing for Christians with shame. Key

한국어

본 연구는 상담 현장에서 만난 한 기독 청소년의 우울증과 수치심의 이해와 치료 방안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수치심의 심리적 영적 영향, 발달과정, 그리 고 수치심 극복 과정을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탐색하고 분석하며 목회 상담적 치료방 안을 제시한다. 수치심은 인간의 기본적인 자기 의식적 감정으로서 우울증, 자살사고, 자기혐오, 그리고 역기능적 대인관계에 의미 있는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우 울증과 자살사고가 있는 많은 청소년들이 수치심 및 그와 연관된 부정적 자기감정을 느낀다. 청소년 시기는 심리적 영적 안녕에 영향을 끼치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 기로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수치심 발달에 대한 분석을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 하였으며 하나님과의 애착 관계 또한 영적 수치심의 관점에서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영유아기부터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과 애착 관계 경험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가치 와 평가에 대하여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것이 수치심 형성에 영 향을 끼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애착 관계 관점에서 볼 때 영유아 시절의 분리와 상실 경험으로 인해서 불안정 애착 행동이 나타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자아상 과 대인 표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관련한 최근 연구들은 불안정 애착 경험을 가진 개인들이 수치심과 심리적 문제 증상을 나타내 보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와 관련하여 청년 K의 우울증과 수치심이 부정적인 또래 관계 경험, 보호자와의 불안 정 애착 및 이성 관계에서의 상실과 연관성이 있음을 고찰하였다. 기독교인의 수치심 으로부터의 회복은 수치심 감정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만나 영적 정체성 을 회복하며 더 이상 수치심 상태에 머물러 있지 않고 자신을 하나님의 존귀한 자녀 로 인식하며 자신을 혐오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할 존재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온 전한 수치심 극복은 하나님과 깊은 만남과 자신의 존재에 대한 깊은 깨달음이 필수적 이다. 본 연구는 수치심으로부터의 회복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목회 상담을 위해 하 나님께 나아가기, 영적 재 초점 맞추기, 영적 깨달음, 수치심 마주하기, 새로운 정체성 강화하기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청소년 우울증과 수치심
III. 수치심 발달 이해: 애착 관계를 중심으로
IV. 영적 수치심과 하나님 애착
V. 수치심 극복을 위한 목회상담
1. 하나님께 나아가기 (Toward God)
2. 영적 재 초점 맞추기 (Spiritual Refocusing)
3. 영적 깨달음 (Spiritual Awareness)
4. 수치심 마주하기 (Facing Shame)
5. 새로운 정체성 강화하기 (Strengthening New Identity)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바울 Roh, Paul.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목회상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