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영성훈련을 위한 고찰 : 솔로 타임(Solo Time)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Spiritual Training in the Post-Corona Situation : Focused on Solo Time

이종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solo time program used in the wilderness experience program as an educational tool for personal spiritual development in school education and church education.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of solo time, which has been used in the wilderness experience programs and outdoor learning. Based on the two characteristics of solo time, the operation process for solo time as a semi-structured curriculum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a preparation stage (a pre-visit to the place) centered on acquiring basic knowledge, selecting a location, and preparing safety issues, the second stage is an execution stage (the visit) in which a solo tim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reflective questions, and the third stage is an application stage (integration and application) consisted of writing down the findings and internalizing them in real life. Next, in order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solo time as an educational tool for school education and church education, solo time was implemented as an mid-term activity in the subject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Youth Camp Operation” operated by University C. Twenty students read, meditate, reflect on, and write about material according to the guidelines given in silence for at least 8 hours in a place they selected. The collected journals were analyzed by subject according to the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esult, the potential as an educational tool was discovered in the terms of 'Intended environment for solo time', 'Solo time as a spiritual activity', 'Internal discovery through solo time', and 'External product through solo time'. In conclus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such a solo time, we present two proposals suitable for the post-corona era. First, it is to include a solo time in th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which provides a time for reflection to make the learning experience and knowledge one's own. Second, it is to include solo time in the curriculum of church education, which provides time to prepare for the expansion of awareness of holistic spiritual education for unity with the individual, nature, and community.

한국어

본 논문은 광야체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는 솔로 타임 프로그램을 학교교육 과 교회교육에서 개인의 영성 계발을 위한 교육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연구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존에 광야체험 프로그램 영역과 야외학습 영역에서 사용되어 오던 ‘솔로 타임’(Solo Time)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종합하여 반 구조화된 커리큘럼으로써의 솔로 타임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한 세 단계의 실 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단계는 기본지식습득, 장소선정, 그리고 안전대책 마련을 중심으로 하는 준비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체계화된 반추적 질문에 따라 솔로 타임을 운영하는 실행단계이며, 세 번째 단계는 솔로 타임에서 발견한 것들을 글로 기록하고 삶에 내면화하는 적용단계이다. 다음으로 솔로 타임이 학교교육과 교 회교육의 교육도구로써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C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및 청소년캠프 운영”이라는 교과목에서 솔로 타임을 중간과제 활동으로 실 시하였다. 20명의 수강생들은 자신이 선정한 장소에서 최소 8시간 동안 침묵하면서 주어진 지침서에 따라 독서와 묵상, 반추하기와 글쓰기를 실시하였고, 자신이 경험한 솔로 타임에 대한 운영일지를 작성하여 중간보고서로 제출하였다. 수집된 일지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식에 따라 주제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솔로 타임을 위한 의 도된 환경’ ‘영적 활동으로써의 솔로 타임’ ‘솔로 타임을 통한 내적 발견’ 그리고 ‘솔로 타임을 통한 외적 훈련’이라는 영역으로 교육도구로써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솔로 타임의 가능성을 근거로 하여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걸맞게 첫째, 학교교육에서 학습의 경험과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반추의 시간을 제공하는 솔 로 타임을 교육과정 안에 포함시킬 것과 둘째, 교회교육에서 전인적인 영성 교육을 위하여 개인과 자연 그리고 공동체와의 연합을 위한 인식의 확장을 마련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솔로 타임을 교육과정 안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솔로 타임의 정의와 구조화
1. 솔로 타임의 정의
2. 교육도구로써의 솔로 타임
III. 솔로 타임의 교육적 도구 가능성에 대한 질적 연구
1. 솔로 타임을 위한 의도된 환경
2. 영적 활동으로써의 솔로 타임
3. 솔로 타임을 통한 내적 발견
4. 솔로 타임을 통한 외적 훈련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민 Lee, Jong-Min. 총신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