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장보살의 교정교화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orrectional Rehabilitation of Kṣitigarbha Bodhisattva

윤종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interpretation of modern transformation by examining the discussion of Correctional Rehabilitation of Kṣitigarbha Bodhisattva(ubodhisattvau of great vows) in Korea. Here's a summary of the findings: First, the prison guards were able to reaffirm the fact that they are the subjects of the primary Correctional Rehabilitation through 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If the hell of the past is in the earth, now it is the prison on the ground.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religion that wants to make hell a place of indoctrination on its own, prison guard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at they are "quasi-Kṣitigarbha Bodhisattva" or quasi-cleric. Second, a 21st-century correctional welfare view was derived from the Kstigarbha's Ten Tenet Text(地藏十輪經). The fact that this is establishing the power of hell rebirth relief can be found in the correctional welfare grounds of the welfare state in the 21st century. Third, we can find significance in the study in that we have sought the corrective goal of preventing recidivism and the correctional goal of preventing recidivism and reflection on crimes that "tell the story of the penitence of their sins and prevent them from sinning again" in the penance. This may be the religious basis for correctional education. Fourth, we reviewed the iconolatry in Korea's correctional facilities. It is believed that religious beliefs are very aging, and that a major supplementary measure should be taken. In the case of Buddhism, it is suggested that when a statue is established or replaced,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it is first transformed into a "Kṣitigarbha Bodhisattva." Finally, it was confirmed in this study that correctional studies of the recipients of correctional facilities for Kṣitigarbha Bodhisattva are left unattended or indifference. The most meaningful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und to be utilized in the main areas of the concept of Rehabilitation in the “Fourth Yeombujungsae-eobampun(閻浮衆生業感品)” mentioned in many places. The study on correctional the Kṣitigarbha Bodhisattva in Korea, which was not cover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specific discussions and reviews through continued research and in-depth follow-up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불교에서 말하는 지장보살의 교정교화 논의를 고찰하여 현대적 변용 해석을 통하여 재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한 것을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도관은 제1차적 교정교화의 주체라는 점을 지장보살을 통하여 재확인 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과거의 지옥이 땅속이라면, 지금은 땅 위의 감옥이 바로 교도소라는 것이다. 지옥을 스스로 교화의 장으로 삼고자 하는 종교가 없다는 점 을 감안하면, 교도관은 ‘준(準)지장보살’ 내지 준성직자라는 지위라는 것을 재인 식하는 계기가 되어 사기 진작의 제고가 새롭게 부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 장십륜경(地藏十輪經, Kstigarbha's Ten Tenet Text)에서 21세기 교정복지적 시각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지옥 중생 구제의 원력을 세우고 있다는 점은 바로 21 세기 복지국가의 교정복지적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지장십륜경 참회품에 서 ‘자신들의 죄를 참회한 이야기와 그들이 다시 죄를 짓지 않도록’하는 범죄에 대한 반성과 재범 방지라는 교정 목표와 교화 사상의 근거를 모색하였다는 점에 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것은 교정 인성 교육의 종교적 근거가 될 수 도 있다. 넷째, 우리나라 교정시설 내 성상에 관하여 문헌 및 현장 의견들을 반 영, 검토하였다. 종교별 성상들이 매우 노후화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대대적인 보완대책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교정시설 내에 종교 성상이 불교, 기독교 및 천주교 3대 종교를 모두 합쳐 317개가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불교의 경우 성상이 신설되거나 교체할 때는 먼저 지장보살상으로 탈바 꿈되도록 유념해야 할 것을 제언한다. 끝으로, 지장보살에 대한 교정시설의 수용 자에 대한 교정교화적 연구가 도외시되거나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의미 있는 연구 결과는 특히 지장본원경 「제4 閻浮衆生業 感品」 등에서 교화의 개념을 추출, 정리함에 따라 향후 이를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우리나라의 지장보살에 관한 교정 교화의 연구에 대해서는 추후 계속적인 연구와 심층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구체 적인 논의와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을 과제로 두었다. 이 글이 종교계·실무현장에서 강화 피드백(reinforcing feedback)이 되어 우리 나라 교정정책의 지렛대가 되기를 규범적 처방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지장보살의 이론적 고찰
Ⅲ. 지장보살의 교정교화 연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종우 Yun Jong-Woo. 카톨릭관동대학교 책임연구원, 한국교정복지학회 부회장, 교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