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Bangye Ryuhyeongwon is an innovative Confucianist and Silhak scholar representing the 17th century. Bangye returned to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in the reality of the time and insisted on radically reforming society. His argument was that the real reform should be “land-based ”. Bangye's argument come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al-Li( ), that Li( ) presides over reality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it. This land reform theory has the same starting point as Daedongbup( ). Therefore, although he did not mention Daedongbup separately, there are many parts in his land reform theory that are in common with Daedongbup. Daedongbup was originally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Offering to King( )” bas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16th century dàoxué( ). The truth was originally caused by the chronic lack of national finances and the enjoyment of the monarch, and various expropriations were added to it and became a general social problem. Therefore, it has the character of a discourse on social reform in effect. However, in terms of the social system of Joseon and the foundation on which it was built, it was quite deformed. In this reality, Bangye went back to the principle and advocated radical reform. From this point of view, Bangye can be said to be a scholar who advocated a total or radical social reform based on the dàoxué basis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reality. The fact that this claim was published on the recommendation of Confucian literate not in office and King Yeongjo's order, Bangyesurok( ) containing this assertion, shows that this assertion did not conflict with the principle of dàoxué.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notion that opposes dàoxué and Silhak( ) or recognizes that dàoxué is merely a passive thinking. I think that a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re-awareness of the reform ideas of the 17th century is necessary.
한국어
반계 유형원은 17세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다. 그는 당시의 현실에서 유학 의 원론으로 돌아가 사회를 근본적으로 개혁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은 의 과 에 근거한 에 근거한 의 개혁안을 시행 하자는 것이었다. 의 은 근본적으로 대동법의 착안점과 일치한 다. 그러므로 비록 대동법을 전면적으로 운위하지 않았으나 반계의 곳곳 에 대동법과 상통하는 요소들이 보인다. 대동법은 원래 16세기 도학에 연원을 두고 진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었다. 진상은 원래 만성적인 국가 재정의 결핍과 군주의 향락이 원인이었고, 여기에 각종 수탈까지 더해져 전반적인 사회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사실상 전면적인 사회개혁 담론으로서 의 성격을 가진다. 하지만, 조선의 사회체제나 그 체제가 딛고 선 토대를 놓 고 볼 때는 상당히 기형적이었다. 반계는 이 현실에서 원론으로 돌아가 근본 적인 개혁을 주장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반계는 도학적 근거와 주체적 현실 인식을 근거로 전면적 혹은 근본적 사회개혁을 주창한 학자라고 할 수 있다. 이 주장을 담은 『반계수록』이 재야의 추천과 영조의 명으로 발간되었음은 이 주장이 도학적 원론과도 상충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존의 도학과 실 학을 대립적으로 파악하거나 도학을 수구적 사고일 뿐이라고 인식하는 관념 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17세기 개혁 사상들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면적인 재 인식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목차
1. 서론
2. 연산조 공안상정과 기형적 수취제도
3. 반계의 田制 개혁과 대동법 인식
4. 主宰하는 實理와 以田爲本의 원칙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