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성과급의 임금성 판단기준에 관한 고찰 — 미국법과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Consideration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ature of Wag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Based Incentives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Review with American Laws —

신동윤, 성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the conflicts still arise over whether or not the business performance-based incentive has the nature of wage. In particular, the judgments on these regards made the different rulings on the similar or same cases so that they increase the confusion. As the compensation for labor under the Korean laws, the wages refer to money and valuables directly or closely related to providing the labor.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ature of wage is, the certainty of the obligation to pay and the continuity and periodicity of payment may be considered in terms of tangible aspects. By constrast, the business performance-based incentive is distinguished from the wages in that it has the disconnection (↔ directness or closeness), uncertainty (↔ certainty), coincidence or temporaryity (↔ continuity and regularity) as essential charateristics. In relation to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nature of wages on the business performance-based incentive, the bonus and profit sharing with regular rates of pay under the American laws may be considered. In the American laws, if the regular rate of pay is linked to the Korean wages (normal wages), the bonus and profit sharing may be connected to the Korean business performance-based incentive. In the case of bonuses, if they correspond to discretionary bonuses, the nature of wages may be denied in the Korean cases, and if they correspond to non-discretionary bonuses, the nature of wages may be affirmed in the Korean cases. In the case of profit sharings, the six positive requirements may be considered as ones that deny the nature of wage in the Korean cases, and the five passive requirements may be considered as ones that affirm the nature of wage in the Korean cases.

한국어

오늘날 경영성과급의 임금성 여부를 둘러싸고 여전히 갈등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이에 대한 판결들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사안에서 상이한 판단을 내리고 있 어 혼란이 가중되는 모습을 보인다. 우리법상 근로의 대가로서 임금은 근로제공과 직접적 또는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금품을 말한다. 임금성 여부를 판단함에는 지급의무의 확정성과 지급의 계속성・정기성이 유형적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반면, 경영성과급은 단절성 (↔직접성 또는 밀접성), 불확정성(↔확정성), 우연성 또는 일시성(↔계속성과 정 기성)을 본질적 속성으로 한다는 점에서 임금과 구별된다. 경영성과급의 임금성 판단과 관련하여, 미국법상 일반급과 보너스・이익배분이 고려될 수 있다. 미국법에서 일반급이 우리의 임금(통상임금)과 연결된다면, 보 너스・이익배분이 우리의 경영성과급과 연결될 수 있다. 보너스의 경우, 재량적 보너스에 해당하면 우리 사례에서 임금성이 부정될 수 있고, 비재량적 보너스에 해당하면 우리 사례에서 임금성이 긍정될 수 있다. 이익배분의 경우, 6가지 적극 적 요건은 우리 사례에서 임금성을 부정하는 요건으로 고려될 수 있고, 5가지 소극적 요건은 우리 사례에서 임금성을 긍정하는 요건으로 고려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소재
Ⅱ. 「공정근로기준법」상 임금과 일반급
Ⅲ. 경영성과급의 일반급 제외 판단기준
Ⅳ. 구체적 사례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Ⅴ. 시사점과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동윤 Sin, Dongyun. 단국대학교 조교수, 법학박사(S.J.D).
  • 성대규 Sung, Daegyu. 강원대학교 조교수, 법학박사(Ph.D. in Law)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