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립공원 훼손지 조사 및 복원방안 체계 구축

원문정보

Establishment of System for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Plan of Damaged Areas in Korea National Parks

윤주웅, 정원옥, 최승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come up with a follow-up management pl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restoration plan for damaged areas that are increasing in various types in Korea national parks. As a result, the types of damaged areas in Korea national parks were divided into 8 types in consideration of management area of national parks, damage pattern, and location of occurrence. In addition, based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damage grade of strong, medium, and weak considering the soil erosion process and the results of field survey, the criteria for prioritizing restoration projects were applied to be classified into 1st to 3r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condition of damage such as status of damaged areas, types of damage, degree of damage, surrounding vegetation, and other conditions in 21 national parks(excluding Hallasan), the total damaged areas were surveyed at 176 sites (1,710,645 m2), of which 85 sites (1,627,634 m2) were damaged in terrestrial ecosystems, and 91 sites (83,011 m2) in islands and coastal ecosystems. As above, a mid- to long-term restoration plan was established through a status survey and assessment of damaged areas for the efficient restoration project of the damaged area in Korea national parks. And it is decided that management of performance result for restoration project and follow-up management of restoration project target site are necessary.

한국어

국립공원 내 다양한 유형으로 증가하는 훼손지의 효율적인 복원계획 수립을 통한 사후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 하였다. 그 결과 국립 공원 훼손지 유형은 국립공원 관리 영역, 피행 양상, 발생 위치 등을 고려하여 8개 유형으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토양침식 과정을 고려한 강, 중, 약 훼손등급 판정 기준과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복원사업 우선순위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1~3순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21개 국립공 원(한라산 제외)을 대상으로 훼손지 개황, 훼손 유형, 훼손 정도, 훼손 현황, 주변 식생, 특이사항 등 훼손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176개소 (1,710,645㎡)로 육상생태계 훼손지 85개소(1,627,634㎡), 도서⋅연안생태계 훼손지 91개소(83,011㎡)로 분석되었다. 또한 국립공원내 훼손지의 효율적인 복원사업을 위해 훼손지에 대한 현황조사 및 평가를 통한 중장기 복원계획을 수립하였으며, 향후 복원 사업에 대한 이행실 적 관리와 복원사업 대상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한 사후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훼손지 평가 기준
2. 훼손지 현황 조사
결과
1. 훼손지 평가 기준
2. 훼손지 현황 조사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주웅 Ju-Ung Yun.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정원옥 Won-Ok Jeong.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최승운 Seung-Woon Choi.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