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5세기 ‘오히려’의 의미와 형태 분석

원문정보

The Meaning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Ohiryŏ(Rather)’ in the 15th Century

김지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15th century, ‘오히려(Ohiryŏ)’ is an adverb that has the meaning of ‘even’, ‘rather’, and ‘still’. Unlike modern Korean ‘오히려(ohiryŏ)’, the meaning of ‘차라리(Chalali)’ was not expressed in the 15th century. And the synonym ‘ᄉᆞᆫᄌᆡ(Sanjae)’ could hardly express the meaning of ‘even’ even if the meanings of ‘rather’, and ‘still’ were shared. In addition, while ‘오히려(Ohiryŏ)’ is over- whelmingly used as the meaning of ‘rather’, ‘ᄉᆞᆫᄌᆡ(Sanjae)’ is often used as the meaning of ‘still’, so even if they are a synonym, the central meaning seem to have been different. Finally, ‘오히려(Ohiryŏ)’ can be analyz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adverb ‘오히(ohi)’ and the adverbial suffix ‘-려(ryŏ)’.

한국어

현대국어의 ‘오히려’는 [도리어]와 [차라리]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이다. 15세기에도 ‘오히려’라는 형태가 존재했지만 그 의미는 현재와 큰 차이를 보인다. 15세기 ‘오히려’는 [도리어/반대로]와 [여전히/그대로]의 의미 외에, ‘하물며(況) 구문’과 높은 비율로 공기하면서 [심지어]의 의미로도 사용된 부사임을 새롭게 밝혔다. 동시에 현대국어 ‘오히려’가 [차라리]의 의미까지 표현했던 것과 달리, 15세기에서는 아직 이 의미까지는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15세기 ‘오히려’의 동의어로 알려진 ‘ᄉᆞᆫᄌᆡ’와의 비교를 통해서도 이 형태의 의미를 분명히 하고자 했다. ‘ᄉᆞᆫᄌᆡ’는 [도리어], [여전히]의 의미는 공유해도 [심지어]의 의미는 거의 나타내지 못했다. 또한 ‘오히려’는 [도리어]의 의미로 쓰인 예가 압도적으로 많았던 반면, ‘ᄉᆞᆫᄌᆡ’는 [여전히]의 의미로 더 자주 쓰이고 있어, 두 형태의 그 중심 의미와 의미 부담 비중이 서로 달랐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오히려’는 ‘오힐-’에 ‘-여’가 결합한 형태로 보는 것보다 ‘오히-’의 영파생부사 ‘오히’에 부사파생접미사 ‘-려’로 분석하는 것이 더 타당함을 밝혔다.

목차

요약
1. 서론
2. 15세기 ‘오히려’의 출현 환경과 그 의미
3. 현대국어 ‘오히려’와 15세기 ‘  ’와의 비교
4. ‘오히려’의 형태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오 Kim, Ji-oh.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