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881년 朝士視察團 書啓ㆍ別單 자료의 문헌적 검토

원문정보

A Philological Review on Seogye(書啓) and Byeoldan(別單) by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in 1881

1881년 조사시찰단 서계ㆍ별단 자료의 문헌적 검토

김기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ogye(書啓) and Byeoldan(別單) were the official reports prepared by the secret royal inspecto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was sent to Japan for the unofficial mission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in 1881 and there are the records of Seogye and Byoeldan submitted for the report. Among the inspection and observation records by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the materials named as Seogye and Byeoldan include Byeoldan(別單) included in Ilsajibryak(日槎集略) by Lee Hunyoung, Gyeongsangdo Dongrae Amhaengeosa Shimsanghak Gyebon(慶尙道東萊暗行御 史沈相學啓本) and Byeoldancho(別單草) of Ilbon Mungyeonsageoncho(日本聞見 事件草) by Shim Sanghak, and Byeoldancho included in Dongraeeosa Seogye of Compilation Work by Eo Yunjung(魚允中全集). This paper clarified that both Seogye and Byeoldan by the officials in 1881 and Seogye Byeoldan by the secret royal inspectors of the time showed the same formats and writing style. This paper also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Byeoldan for official documents(成冊) and for evidential documents(粘連).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formats of Byeoldan by the officials who were sent to China and Japan. The Byeoldan by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and Seogye by secret royal inspector of the time showed similar formats. Such fact proved that the Byeoldan by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actuall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found in Seogye by the secret royal inspector. In addition, the records on observation and inspection submitted by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for the official documents have the same formats with Byeoldan. Furthermore, Byeoldan prepared by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for the report was similar to documents presented to the king(啓本)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reliminary writing, Seogye. It is assumed that the officials used both Seogye and Byeoldan alternately.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contents of Byeoldancho(別單草) from Compilation Work by Eo Yunjung(魚允中全集) and Byeoldan from Ilsajibryak(日槎集略) and found out that the records were written and transcribed by Lee Hunyoung. In the observation records by Shim Sanghak, the records on the foreign affairs Eoimusung and observation Gyeonmukrok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yeoldan while Gyebon and Byeoldancho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Seogye. This supports the fact on how Byeoldan shared the same writing style of Seogye Byeolda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nspection documents reported to the king. The researches on Sino-Korean literature need to cover the comprehensive types such as document format and writing style in addition to contents and literary value of the works. In response, this study reviewed the writing style and contents of the reports by Official Observation Mission and examined the transcribed types. This hold significance as the basic material for further researches on formats and writing style of Seogye and Byeoldan.

한국어

書啓와 別單은 조선시대에 임무를 수행한 암행어사가 복명할 때 올리는 문건으 로 제도화되어 있었다. 1881년 朝士視察團의 일본 시찰은 암행어사와 사행이라는 성격을 지녔고, 복명 시 올린 서계와 별단 자료가 남아 있다. 현재까지 조사된 朝士 視察團의 시찰 및 문견 기록물 중 서계와 별단이라 명명된 자료는 李永의 『日槎集略』에 실린 「別單」, 沈相學의 「日本聞見事件草」에 실린 「別單草」, 「慶尙道 東萊暗行御史沈相學啓本」이 있고, 『魚允中全集』의 「東萊御史書啓」에 수록된 「別單草」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1881년 조사들의 書啓ㆍ別單과 당대 암행어사의 서계ㆍ별단에 나타난 존대 양식과 이두 투식의 공통점을 밝히고, 成冊별단과 粘連별단의 특징 및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또 연행사의 문견별단과 朝士視察團의 문견사건의 양식 을 비교ㆍ대조하여 살폈다. 朝士視察團‘별단(초)’의 투식이 비슷한 시기의 조선 시찰 암행어사 ‘서계’의 투 식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통해 朝士視察團의 별단(초)이라고 불리는 자료들이 실상 암행어사의 복명 문서인 서계의 성격과 특징을 지녔음을 확인하였다. 곧 朝士들이 복명 시 성책으로 제출한 문견ㆍ시찰기류 자료들은 형식상 별단에 해당하고, 朝士 視察團이 복명을 준비하면서 서술했던 ‘별단(초)’은 실상 예비적 서술인 書啓의 성 격을 가진 啓本이나 啓本草에 가깝다. 이는 朝士들이 서계와 별단을 혼칭한 것으 로 추정된다. 또한 『魚允中全集』에 수록된 「東萊御史書啓」의 「別單草」와 『日 槎集略』「別單」의 전문 내용을 비교ㆍ대조하여 이헌영이 書役하여 轉寫한 자료 임을 확인하였다. 심상학의 시찰 자료에서 성책 「외무성」과 「견문록」은 별단의 성 격을 지니고 「계본」과 「별단초」는 서계의 성격을 지닌다. 이는 앞서 서계별단의 투식, 성책 문견별단과 문견사건의 형식적 특징을 토대로 朝士視察團의 별단(초)가 서계의 성격을 지닌다고 밝혔던 내용과도 부합한다. 한문학 영역의 연구는 작품의 내용, 문학성뿐만 아니라, 문서의 양식, 투식 등의 전형적 부분 또한 두루 소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朝士視察團보고용 문서 의 투식과 내용을 검토하고 轉寫된 양상을 고찰한 이 연구는 書啓ㆍ別單의 전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후 진행될 書啓ㆍ別單의 형식과 문체 연구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朝士視察團 書啓ㆍ別單의 실제와 격식
3. 朝士視察團 書啓ㆍ別單의 내용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엽 Kim, Gi-Yeop.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