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승경전에 나타난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 - 『유마경』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Thought of the Non-mainstream Nirvāṇa Appearing in the Mahayana sutrassutrassutras - Focused on Vimalakirti Sutra -

정운스님 (신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modeling after the fact that the Sakyamuni Buddha became the Buddha by putting into practice the mercy as the Bodhisattva in the many past lives, the Mahayana Buddhists called themselves, too, as the “Bodhisattvas”. Meanwhile, the great Buddhist Bodhisattvas had sought after a method for putting into practice the Zaririta. Among the Bodhisattva’s journeys, too, it is an altruistic, great flight. The best Bodhisattva’s journey that had been manifested in this daebi is the thought of the Non-mainstream Nirvana. The top, ideal state of the previous Bupa Buddhists is the Nirvana world that has been staying in the proper state by coming out of the ryukdoryunhwe. But, regarding the Mahayana Buddhism Bodhisattva, in order to save the world, without entering into Nirvana, by returning to this world, in order to be together with the people, he has been remaining in this world. Or, in other words, in order to take care of the people, Bodhisattva establishes a Seowon and saves the world while remaining in the world of the people. This is because the origin where the Vimalakirti Sutra begins is the occurrence of an illness of Yumageosa. Regarding the cause of the illness of Yumageosa, the Daebishim, which has ‘Because the people are ill, the Bodhisattva, too, is ill’ as the topic, becomes unfolded. The scripture gets unfolded with a conversation between Yuma and Seongmun. The Buddhist sermon of Yuma, which symbolizes the Mahayana Buddhism, preaches the Daebishim as a Bodhisattva, indeed. Indeed, with the Daebishim that does not have a dichotomic sense of discrimination regarding the people, it is based on the gonggwan baramilhaeng of the non-obsession and the sense of being ownerless. This thought of the Nirvana without the maintenance is the same thought as daebicheonje and dongsaseop (one between dongsaseop and saseolbeop) other than the Vimalakirti Sutra. And, after completing the performance in the ten oxherding picture, too, of the Songdae Gwakamseonsa, the salvation of the people is described as the last tenth picture [Ipjeonsusu].

한국어

대승불교도들은 석가모니부처님이 수많은 과거생에 보살로서 자비를 실천함[因行]으로써 부처가 되었음[果德]을 본 따서 자신들도 ‘보살’이라고 지칭했다. 그러면서 대승불교 보살들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실천 방법을 모색했다. 보살행 가운데서도 이타의 대비행(大悲行)인데, 이 대비에서 발로(發露)된 최상의 보살행이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이다. 이전 부파불교 교도들의 최고 이상적인 경지는 육도윤회(六道輪迴)에서 벗어나 적정(寂定) 경지에 머물러 있는 열반세계이다. 그런데 대승불교 보살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열반에 들지 않고[無住涅槃], 사바세계로 되돌아와 중생들과 함께 하기 위해 차안(此岸)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즉 보살은 중생을 보살피기 위해 원력[願力, 誓願]을 세우고 사바세계에 머물며 중생을 제도한다. 『유마경』이 시작되는 연원은 유마거사의 발병(發病) 때문이다. 유마거사가 병이 난 원인은 ‘중생이 병들어 있어 보살도 병이 났음’을 주제로 하는 대비심이 나타나 있다. 유마[大乘]와 성문[小乘]들과의 대화로 경전 내용이 전개되는데, 대승불교를 상징하는 유마의 설법은 곧 보살로서의 대비심을 설파한다. 곧 중생에 대한 이분법적 차별심이 없는 대비심으로 무집착·무주심(無住心)의 공관적(空觀的) 바라밀행을 기반으로 한다. 이 무주열반 사상은 『유마경』 이외에도 대승불교 사상에 대비천제(大悲闡提)·동사섭(同事攝)·십우도의 열 번째 그림[入纏垂手] 등에도 나타나 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면서
Ⅱ. 대승불교의 보살사상
1. 대승 보살의 서원사상
2. 『유마경』에 나타난 보살사상
Ⅲ. 대승경전에 나타난 무주열반(無住涅槃)
1.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에서의 ‘열반’ 용어 비교
2. 대승불교사적 관점에서 본 ‘무주열반’
Ⅳ. 『유마경』에 나타난 무주열반(無住涅槃)
1. 『유마경』에 담긴 대비심
2. 『유마경』에 나타난 무주열반 : 보살은 방편으로 중생계에 머물다.
3. 『유마경』의 무주상(無住相)·무주심(無住心)의 바라밀행
Ⅴ.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운스님 (신명희) Sin, Myung-Hee(Ven. Jung-Un).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