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조선전기 능침사의 설치와 변화 - 서울 지역 능침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Installation and Change of the Neungchim Temp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 on the Neungchim Temples in Seoul -

탁효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Neungchim Temples (the temples belonging to royal tombs) located in Seoul among the Neungchim Temples install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eungchim Templ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all located in Seoul; the three are: the Heungcheonsa Temple in Jeongneung, the Jeonginsa (Suguksa) Temple in Gyeongneung and Changneung, and the Bongeunsa Temple in Seonjeongneu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ungchim Temples in Seoul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three temples were not only representative of the royal family, but also were built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the royal family. Because the Neungchim temples of the Seoul area were located adjacent to the capital city, it was easy to set up royal Buddhist events. Also, it was effective in mobilizing the public mind through Buddhist events, so it could be used as a political institution of the royal family. Second, the people who led the construction of the Neungchim Temples in the Seoul area were the most powerful at the time. The installation of large-scale Buddhist temples near the capital city required considerable funds and strong political power. These temples were built with the full financial support of the royal family, and by receiving the king's private money, they established themselves as royal temples in name and reality. Third, the Neungchim Temples in the Seoul area became a target for Confucian scholars due to their peculiarity as a stronghold of royal Buddhism. The Heungcheonsa Temple in Jeongdong was eventually destroyed by two arsons by Confucian students, and the Jeonginsa Temple was criticized for being a place of immorality for women. The Bongeunsa Temple was relocated by the King Yeonsan because it was too close to the royal tombs. During the King Myeongjong era, it received various criticisms, such as scattering national discipline and disturbing the public mind. The Neungchim Temples in the Seoul area continued to be leading Buddhist temples in Seoul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despite criticism and persecution from Confucian scholars. In addition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 of the royal family, there was a solid religious foundation built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lso, ev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the ritual function of the Neungchim Temples was lost, the monks of the three temples actively cooperated in the management of the tombs and preparations for the ancestral rites of the mountain tombs, thereby expanding the foundation for the existence of Buddhism. The Buddhist ritual of rebirth and belief in the afterlife that the Neungchim Temples performe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Buddhist culture of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전기에 설치된 능침사 가운데 오늘날 서울 지역에 소재한 능침사의 현황과 특징, 변화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서울에 소재한 조선전기 능침사는 정릉(貞陵) 의 흥천사, 경릉(敬陵)과 창릉(昌陵)의 정인사(수국사), 선정릉(宣靖陵)의 봉은사 등 총 3곳이다. 조선전기 서울 지역 능침사의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서울의 세 능침사는 왕실의 대표적인 추복도량이었을 뿐만 아니라 왕실의 정치 적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서울 지역 능침사들이 도성과 인접한 곳에 위치해 왕실 불사의 설행이 용이했고, 불교행사를 통한 민심 결집에도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왕 실의 정치적 기구로 활용될 수 있었다. 둘째, 서울 지역의 능침사 건립을 주도한 인물들은 당대 최고의 권력층이었다. 도성 인근에 대규모 가람이 설치되었던 것은 상당한 자금과 막강한 정치력이 요구되는 사안이 었다. 이 사찰들은 왕실의 전폭적인 재정 지원을 받아 조성되었고, 왕의 사액을 받음으로써 명실상부한 왕실사찰로 자리매김했다. 셋째, 서울 지역의 능침사는 왕실불교의 거점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유학자들의 표 적이 되었다. 정동의 흥천사는 유생들의 두 번의 방화에 의해 결국 폐사되었고, 정인사는 부녀자들의 음란하고 부도덕한 불사의 장소라는 지탄을 받았다. 봉은사는 왕릉과 너무 가까워 불경소리가 들린다는 이유로 연산군대에 능역 밖으로 이전하였고, 명종대에는 부도덕한 대비와 요승 보우로 인해 국가기강을 흩트리고 민심을 어지럽힌다는 등의 갖가 지 비판을 받았다. 서울 지역의 능침사는 유학자들의 비난과 박해에도 불구하고 조선말까지 서울 지역의 불교문화를 주도하는 사찰로 명맥을 이어갔다. 여기에는 왕실의 정치경제적 지원과 더불 어 조선전기부터 구축된 공고한 종교적 기반이 자리 잡고 있었다. 또한 능침사의 제사 기능이 사라진 조선후기에도 세 사찰의 승려들이 능침 관리와 산릉 제사 준비에 적극 협력하면서 불교의 존립 기반을 스스로 확대하였다. 능침사가 수행하던 불교식 추천의례 과 내세추복신앙은 조선시대 서울의 불교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능침사의 설치 배경
Ⅲ. 조선전기 서울 지역의 능침사
Ⅳ. 서울 지역 능침사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탁효정 Tak, Hyo-Jeong.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