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학교 『국사』의 여순사건 서술 변천 과정

원문정보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the Yeosu· Suncheon Incident in High School Textbooks

유상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description of the Yeosu·Suncheon incident (Yeo·Sun incident) had been changed in both government-produced and government-licensed high school textbooks. The Yeo·Sun incident was initiated when the 14th regiment, which was stationed in Yeosu, disobeyed the counterinsurgency command to be deployed to Jeju-do to put an end to the Third of April incident, otherwise known as the Jeju Massacre, and rose in revolt. In the quelling of this revolt, massacres of civilians were carried out, resulting in over 10 thousand deaths in the eastern Jeonnam area. But previously, the Korean government emphasized only the rebellious aspect of the Yeo·Sun incident, and applied this perspective when making Korean history textbooks.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how the perception of Korea—from the government’s perspective—has changed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descriptions of the Yeo·Sun incident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this,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is the second curriculum period, in which different publishers were first able to produce their own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descrip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blishers, but all were examined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be officially approved. In this second curriculum period, the Yeo·Sun incident first appeared, but only in half of the textbooks, and all were described from anti-communist stance; for instance, the textbooks claimed that North Korea dispatched communists to South Korea in order to communize it, and the Yeo·Sun incident occurred as part of this. The second is from the third to fifth curriculum periods, in which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unified into on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when more anti-communist positions started to be advocat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The third is from the sixth to seventh curriculum periods, in which only one type of governmental textbook continued to be available. But a momentous change was made in the description of the Yeo·Sun incident in that the description was changed from revolt to incident. This perception change was indebted to the efforts of local people and the accumulation of academic research.

한국어

이 글은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서 여순사건 서술에 대한 변화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여순사건은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14연대가 1948년 10월 19일 4·3사건 진압을 위해 제주도로 출동하라는 명령을 거부하면서 촉발된 사건이다.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민간 인에 대한 학살이 동반되면서 전남동부지역에서 1만여 명이 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던 사건이었다. 그런데 국가는 여순사건에 대해서 반란에 대한 성격만을 강조하였고, 이런 인식을 국사교과서에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 글에서는 국사교과서의 여순사건 관련 서술변화를 통해 국가의 여순사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크게 세 시기로 구분 하여 국사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2차교육과정기로 국사교과서가 검정으로 다 양한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교과서마다 서술의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절반 정도의 교과서에서 여순사건 서술이 등장하였고 반공주의에 입각한 여순사건 서술이 시작된 시기였다. 두 번째는 3차에서 5차교육과정기로 군사독재정부의 반공주의가 강화되던 시기로 국사교과서가 국정교과서로 단일화되어 출판되었으며 강화된 반공주의에 의한 여순사건 서술이 이루어진 시기였다. 세 번째는 6차에서 7차교육과정기로 여전히 국정 교과서가 이어졌지만 여순사건 서술에 있어 여순사건이 ‘반란’에서 ‘사건’으로 서술되는 중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여순사건에 대한 역사인식의 변화가 나타난 것은 지역민들의 노력과 학계의 연구 성과 축적에 힘입은 것이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여순사건 서술의 등장(제2차 교육과정기)
Ⅲ. 국정교과서 편찬과 반공주의의 강화(3차 교육과정기~5차교육과정)
Ⅳ. 반란에서 사건으로(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상수 Ryu, Sang-Soo. 여순사건위원회 조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