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원문정보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ceived healthcar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한수정, 김미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biliy of healthcar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7, 2020, to Sep. 17, 2020 for 119 high school students in City D. SPSS WIN 22.0 program was used to for t-test and one-way ANOVA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ability of healthcar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had a static correlation with the sub-domains of family function, that is, family cohesion(r=.65, p <.001) and family adaptability(r=.54, p <.001). For male students(β=.17, p =.012), those who reported a high level of perceived health status showed a high level of ability of healthcare(β=.25, p <.001).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high school students' health management ability were identified as gender (β=.17), their own health status perception (β=.23), and family cohesion (β=.45),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0%. appear. Further research is hereby suggested for validation of the mediating role and effects of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family func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encourage their practicing of health care management and help them to enter into healthy adulthood.

한국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건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 고등학생 최종 119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7일부터 9월 17일까지 진행하였다. SPSS WIN 22.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t-검정, 일원 분산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건강관리능력은 가족기능의 하위영역인 가족결속력(r=.65, p<.001), 가족적응력(r=.54,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고등학생의 건강관리능력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성별(β=.17), 자신의 건강상 태 인식(β=.23), 가족결속력(β=.45)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0%로 나타났다. 추후 고등학생들이 지각 하는 가족기능과 고등학생의 건강관리의 실천을 증진시키고, 건강한 성인기를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 중재 및 효 과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및 절차
2.5. 자료 분석
2.6.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리능력의 차이
3.3 대상자의 가족기능과 건강관리능력
3.4 대상자의 건강관리능력과 가족기능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건강관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한수정 Su-Jeong Han.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김미란 Mi-Ran Kim.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