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to present further directions. This study was scoping review designed and used methodological framework by Arksey and O'Mally. The reviewed study were found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and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1. There were a total of 18 studies that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framework is comprised of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opic of research conducted. Research in regards to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has increased after 2010, and quant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with nurses as the primary subject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studies perform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outcome for th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were education, position, and key variables were work performance,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nursing work achievement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hat it systematically reviewed the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y and set a direction for further studies. In the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reflect changes in the health care syste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t is suggest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ursing informatis competency for nurses and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정보역량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간호정보역량과 관련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로 Arskey와 O'Malley의 방법론적 기틀을 사용하였다.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18편으로, 분석틀은 연구의 일반적 특성과 주제분석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정보역량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 증가하였으며, 간호사 대상의 양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간호정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교 육 정도와 직위였으며, 관련 핵심 변수는 업무수행능력,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 간호조직문화, 간호근무 환경이었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간호정보역량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간호사,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역량 향상을 위해서 보건의료시스템과 간호업무환경의 변화를 반영하고, 간호정보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적용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문헌의 일반적 특성
3.2 문헌의 주제 분석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