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장혜림, 이래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constr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in 2020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anxiety,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main results regarding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39% of 589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experienced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Also, compared with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those who experienced deterioration showed higher scores of anxiety and stress as well as higher percentages of experiencing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positively significantly influenced anxiety,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strategies to protect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in disaster like COVID-19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에서 구축한 2020년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 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여부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89명의 조손가정 청소년 중 39%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했다. 또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불안과 스트레스의 점수가 높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험 비율이 높았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조손가정 청소년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의 경험은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문헌검토
2.1 코로나19와 청소년 정신건강
2.2 조손가정의 특성과 가정경제 악화 및 손자녀정신건강
3. 연구방법
3.1 분석자료와 연구대상
3.2 분석변수
4. 분석방법
5. 연구결과
5.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5.2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 가정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6.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혜림 Hae-Lim Chang.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 이래혁 RaeHyuck Lee.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