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괴테의 『색채론』 관점에서 본 디지털 공간색채 연구

원문정보

Digital spatial color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Goethe's color theory

선소현, 김승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Goethe's color theory, this study presented concepts and classification methods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or the purpose of defining sensory, emotional, and experiential colors as spatial colors in digital space. First, the concept of spatial color is def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ree (3) types of spatial color are classified as the surface, outline, and physical colors. Secondly, the study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pace and color sensory type. Third, based on the identified color sensory type through the previou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four (4) categorized digital spatial color were derived and presented as techno Chromatic, S.E.N.S.E, pixel, and blur colors were determined and proposed. Based on such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zed the meaning of Goethe's color theory in the present age through digital spatial color.

한국어

본 연구는 괴테의 색채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 공간에서 감각적, 정서적, 경험적 색채를 공간색채로 정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념 및 분류 방법을 다음의 연구 방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색채 개념을 정의하고, 공간색채 분류로 표면색채, 테두리색채, 물리 색채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둘째, 디지털 공간의 특성과 색채 시스템을 고찰하였다. 셋째,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유형화된 공간색채와 디지털 공간의 특성 및 색채 감각유형을 바탕 으로 디지털 공간색채 4가지를 테크노 색채, 센스 색채, 픽셀 색채, 블러 색채로 도출하고 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괴테의 색채론이 현시대에 갖는 의미를 디지털 공간색채를 통해 체계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괴테의 색채론
2.2 공간색채 개념 및 분류
3. 디지털 공간의 특성 및 색채 감각유형
3.1 디지털 공간의 특성
3.2 디지털 색채의 감각유형
4. 디지털 공간색채
4.1 디지털 공간색채의 개념
4.2 디지털 공간색채의 유형화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선소현 So-Hyun Sun.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경영 전공 석사과정
  • 김승인 Seung-In Kim.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