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중고령 근로자의 경력적응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업무몰입과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역할

원문정보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among older workers : the role of work engagement and perception on older workers

김영형, 김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lder workers career adap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n older workers on work engagement. A total of 458 cases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work engagement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perception on older workers.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bout older workers’ career adaptability and the way how to hold older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기업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경력적응력이 높은 종사자가 중요하다는 점과, 생산가능인 구의 지속 감소로 중고령 근로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이직 의도를 줄이고 업무 몰입을 통해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중고령 근 로자의 경력적응력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 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적응력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 서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경력적응력이 업무몰입의 매개를 통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 경력적응력 및 업무몰입도 제고를 통한 이직 의도 감소방안과 더불어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고정관념 변화를 위한 기업의 노력 등에 관한 실용적 시사점 등을 제안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2.1 경력적응력과 중고령 근로자
2.2 경력적응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2.3 경력적응력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 업무몰입의 매개효과
2.4 경력적응력, 업무몰입,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3.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설계
3.1 자료수집 및 표본의 구성
3.2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4. 조사분석 결과
4.1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4.2 변수의 기술통계량과 상관관계
4.3 경력적응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4.4 경력적응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업무몰입의 매개효과
4.5 경력적응력, 업무몰입,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5.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형 Young-Hyoung Kim. 금오공과대학교 IT융합학과 부교수
  • 김혜경 Hye Kyoung Kim.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정책실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