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 구직역량 척도(Career EMC Scale) 개발 및 타당화

원문정보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reer EMC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김유리, 안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areer EMC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cale was developed ‘career exploration (career information seeking, career understanding)’, ‘career motivation (self understanding, job seeking intention)’, ‘career core skills (interpersonal skill, communication skill, decision making skill, career adaptability skill)’ 3 factors and 8 sub-factors. Two independent samples were recruite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First, sample A(n=165) was used to generate the factors through exploratory analysis. It resulted in a scale of eight factors which contained ‘career information seeking’, ‘career adaptability’, ‘career understanding’, ‘interpersonal skill’, ‘self understanding’, ‘job seeking intention’, ‘decision making skill’, ‘communication skill’ dimension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cale using sample B(n=524) yielded three factors (career explora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core skills) and eight sub-factors. Third, con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the Career EMC Scale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optimism through sample B.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구직역량 강화를 위해 구직역량 척도(Career EMC Scale) 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 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89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165명)와 본검사(524명)를 총 2 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구직역량 척도는 ‘직업탐색(직업정보탐색, 직업이해)’ 요인, ‘직업동기(자기이해, 구직의도)’ 요인, ‘직업핵심기술(대인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의 사결정기술, 직업적응기술)’ 3요인 8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의 타당도 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구성된 구직역량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척도에 서는 총 3개의 차원에서 8개의 하위 요인, 총 38개 문항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8개 하위 요인(직업정보탐색, 직업이해, 자기이해, 구직의도, 대인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기술, 직업적응기술)으로 구성되었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674~.825로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직역량 척도는 ‘직 업탐색(직업정보탐색, 직업이해)’ 요인, ‘직업동기(자기이해, 구직의도)’ 요인, ‘직업핵 심기술(대인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기술, 직업적응기술)’ 3요인 8개 하위 요인으로 최종 확인되었으며, 구직역량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02, 3요인의 신뢰도 는 .788~.863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렴 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직역량의 8개 하위 요 인들은 자기주도학습, 자기효능감, 내재적 동기, 낙관주의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타당도가 입증된 구직역량 척 도는 대학생들의 구직역량 진단 및 진로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I.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1. 구직역량의 개념
2. 구직역량 관련 측정도구
3. 구직역량 관련 변인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구직역량 문항 개발
3. 구직역량척도의 수렴 타당도 검증
4. 연구 절차
5.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 1: 대학생 구직역량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2. 연구 2: 대학생 구직역량 척도의 타당화
Ⅴ. 논의 및 결론
1. 연구 1: 대학생 구직역량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2. 연구 2: 대학생 구직역량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및 수렴 타당도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리 Kim, Yuree. 중앙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 안도희 Ahn, Doehee.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