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OVID-19 팬데믹에서 간호학생의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방식 매개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the COVID-19 Pandemic :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권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go-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7 to December 5, 2021 for 186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program and PLS(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The stress coping styles acted as a parameter when ego-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affect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ego-resilience, self-leadership, and problem-focused active stress coping styles to supplement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to prepare for the era of infectious disease.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21년 11월 27일부터 12월 5일까 지 간호대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과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방정식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자아탄력성과 셀프리더십이 임상실습 만 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향 상시키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 문제중심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 그램을 개발ㆍ운영하여 임상실습 교육의 질적 보완과 감염병 시대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2.1 자아탄력성
2.2 셀프리더십
2.3 스트레스 대처방식
2.4 임상실습 만족도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3.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3.5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4.1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실증분석 및 결과
4.3 가설검정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권상민 Sang-Min Kwon.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