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 거주 노인의 활동 체력과 신체 활동수준의 관련성

원문정보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functional fitness in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신소희, 김용안, 김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PA) level and functional fitness (FF) paramete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5 or above in Korea. Subjects’ (M: 1,645; F: 2,394) PA level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below the recommended level of PA(LPA) and one above the recommended level (PA). PA was further classified by intensity level into medium- and high-intensity PA (MIPA and HIPA respectively) groups. FF was assessed based on six test items representing the following fitness areas: lower and upper body strength, agility and dynamic balance, flexibility, aerobic capacity, coordin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the subjects, 36% met the recommended level of PA. Both MIPA and HIPA were superior to LPA in all FF items(p<.05). The HIPA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in terms of agility and dynamic balance, coordination, and lower body strength (only in women) than was the MIPA group(p<.05). In conclusion, PA above the recommended level is needed to maintain functional fitness. In addition, HIPA seems to promote fall-related functional fitness and should be encouraged when safe and feasibl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신체 활동(physical activity; PA) 수준과 활동 체력 (functional fitness; FF)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피검자(남성:1,645명; 여성:2,394명)의 PA 수준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FF는 상·하지 근력,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유연성, 유산소성 능력, 협응력, 그리고 신체 구성 등 체력 영역을 대표하는 6항목으로 측정, 평가하였다. 피검자는 신체 활동 권장기준에 따라 권장량보다 낮은 그룹 (low physical activity; LPA)과 권장량 기준을 충족하는 그룹(PA)으로 나누었고, PA 그룹은 다시 강도 수준에 따라 중강도 그룹(MIPA)과 고강도 그룹(HIPA)으로 분류하였다. 권장량 수준을 충족하는 피검자는 48%였고, 이들은 모든 항목에서 LPA보다 성적이 높았다(p<.001). HIPA 그룹은 MIPA 그룹보다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협응력, 그리고 하지 근력(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이 활동 체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서는 건강을 위해 권장하고 있는 신체 활동량을 충족시켜야 하며, 특히 낙상 관련 체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높은 신체 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2.2 활동 체력
2.3 신체 활동평가 및 활동수준 분류
2.4 통계처리
3. 결과
3.1 남성 노인의 신체활동 그룹 간 체력비교
3.2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 그룹 간 체력비교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신소희 So-Hee Shin. 울산대학교 스포츠과학부 교수
  • 김용안 Yong-An Kim. 충남대학교 연구교수
  • 김현수 Hyun-Soo Kim.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