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tress by occupation before and after responding to COVID-19 among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Chungcheongnam-do and Gyeonggi-do from March 22 to April 25, 2021. Of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206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one way ANOVA, and chi-square tes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sub-areas of job stres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response of nursing home workers shows that nurses have job demands(t=-3.90, p<.001), job instablity(t=-3.30, p=.002), the nursing assistant has job demands(t=-2.45, p=.018), nursing care workers have job autonomy(t=-3.34, p=.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job stres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of workers in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in the COVID-19 era, stress relief programs for each occupation must be customized.
한국어
본 연구는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종별 스트레스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 22일에서 4월 25일까지 충청남도와 경기도 지역의 요양시설 종사자들 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20부의 설문지 중 206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자료는 t-test, One way ANOVA, chi-square tes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무 스트레스 하부영역 차이를 보면 간호사는 직무요구(t=-3.90, p<.001), 직무불안정(t=-3.30, p=.002)에서 간호조무사는 직무요구(t=-2.45, p=.018), 요양보호사는 직무자율(t=-3.3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코로나 19 시기에 요양시설 종사자의 직종별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종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을 알맞게 제공해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 절차
2.5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특성
3.2 요양시설 종사자의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무스트레스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무스트레스 차이
3.4 직종에 따른 코로나 19 대응 전·후 요양시설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차이
3.5 코로나 19 대응 전·후 직종별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점수 분포에 대한 차이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