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미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Meaning of Parents to Depression :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조설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he meaning of parents in age, and relationship between meaning of parents, meaning in life and depression. The online survey data of 400 including 100 late-adolescents, 100 young adults, 100 mid adults, and 100 older adults was us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eaning of par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ing in lif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lso meaning in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there were no age difference in meaning of parents in anova analysis. Thir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meaning of parents had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mediated by meaning in lif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meaning of parents and meaning in life can be protactive factors on depression.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aions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미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부모 의 의미의 연령차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 후기, 성인 초기, 중년기, 노년기 각각 100명씩 총 400명을 대상 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의미는 삶의 의미와 정적 상관이 나타 났으며,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삶의 의미와 우울은 부정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 후기, 성인 초기, 중년 기, 노년기의 연령에 따라 부모의 의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구조방정식 을 통해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미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의미는 삶의 의미를 낮춤으로써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따라서 부모의 의미를 증진하고 삶의 의미를 높이는 방안을 통해 청소년 후기와 성인기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용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측정도구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3.2 연령에 따른 부모의 의미 차이 검증
3.3 부모의 의미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4.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설애 Seolae Jo.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