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interruption and after the interrup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herent therein. It found that, in favorable interruption, women often used intimacy, and men often used continuing and developing topics, so it was possible to read women's empathetic dialogue and men's topic-led dialogue. In addit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continuation and completion of the current speaker's turn after interrupting confirmed that the continuation of the current speaker was somewhat higher for women and the continuation of the latter speaker for men. Also, interrupting at a transition easy point, an effective point of bringing about turn-taking, often appeared regardless of gender, showing a tendency to overcome gender differences, but this also showed a rather high preference of responses for women and continuing and developing topics for me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xisting gender dialogue method, that is: women’s cooperative dialogue based on bonds and men’s competitive dialogue method that leads the dialogue.
한국어
기존의 말 끼어들기 연구는 ‘끼어드는 행위가 현행화자에게 우호적’인 지의 여부가 주요 관심사였다. 따라서 말 끼어들기 이후를 연구한 이도 많지 않고 이를 구체적으로 유형화해서 살피는 이도 많지 않다. 그러나 말 끼어들기 이후 현행화자가 말차례를 지속하는 것과 후행화자에게 말 차례를 넘기는 것은 현행화자의 주도권에서 차이를 가진다. 본고는 이러 한 점에 착안하여 말 끼어들기와 말 끼어들기 이후의 유형분류 그리고 이 에 게재된 성별 차이에 대해 살피었다. 그리고 후행화자의 말 끼어들기가 효율적으로 수행된 지점에서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호적 말 끼어들기에서 여성은 친밀감 증진을, 남성은 화제지속 및 발전의 끼어 들기를 자주 사용하고 있어 여성의 공감적 대화방식과 남성의 화제주도 적 대화방식을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말 끼어들기 이후 현행화자의 말차례 지속과 완료를 조사한 결과에서 현행화자의 지속은 여성이 다소 높 은 분포를, 후행화자의 지속은 남성이 다소 높은 분포를 보임을 확인하였 다. 또한 말차례를 가져오는 효과적인 지점인 추이용이지점에서의 말 끼 어들기는 성별과 상관없이 자주 나타나 성차가 극복되는 경향을 보였지 만, 이 역시도 선호반응은 여성이, 화제지속 및 발전은 남성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이었다. 지금까지 우호적 말 끼어들기와 말 끼어들기 이후의 세 부의미기능별 분포현황을 검토한 결과, 친밀감 증진이나 선호반응처럼 청 자지향적인 의미기능은 여성에게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었고, 화제지속 및 발전처럼 화제주도적인 의미기능은 남성에게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 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성별 대화진행방식 즉, 여성의 유대감에 근거한 협동적 대화와 남성의 대화를 주도하는 경쟁적 대화진행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정리와 연구의 방법
3. 우호적 말 끼어들기와 말 끼어들기 이후에서의 성차
3.1. 담화상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한 말 끼어들기
3.2. 말차례를 중심으로 한 말 끼어들기 이후
3.3. 추이용이지점에서의 말 끼어들기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