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년남녀의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Drinking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in Korea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이소영, 최유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effects of drinking on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de use of raw data from the responses of 1,025 middle-aged men and women that participated in the 2021 Survey on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A University and performed a moderated regression model analysis in which friend support as a social support was introduced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influential relations of depression and drinking among middle-aged men and women.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rinking was a predicting factor for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That is, their depression increased under the effects of drinking; secondly, friend support mitigated positiv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drinking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which demonstr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friend support; and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control variables and found that depression was more severe in women than men, those who had no spouse than those who had a spouse, and those who were self-employed than those who had a regular job.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had negative effect on their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d related to depression and drinking and also their social support including friend suppor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남녀의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에서 실시한 2021년 중장년 정신건 강실태조사에 참여한 중년남녀 1,025명이 응답한 원자료를 활용하여 중년남녀의 우울에 대 한 음주의 영향관계에 친구지지가 조절변수로 투입된 조절회귀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년남녀의 음주가 우울에 대한 예측요인임이 밝혀졌다. 즉 중년남녀의 우울은 음주의 영향을 받아 증가하였다. 둘째, 중년남녀의 음주와 우울 간의 정적 영향관계를 친구 지지가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친구지지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통제변수의 영 향력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비해, 자 영업자가 정규직에 비해 우울이 심하고, 최종학력과 월평균가구소득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기 우울 및 음주 관련 정신건강과 친구지지를 포 함한 사회적 지지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소영 Lee, So Yo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최유진 Choi, You Jin.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가톨릭사회복지학 박사과정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