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VHS

자율주행시스템 운행지원을 위한 도로 인프라 측면의 위험 요소 관리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thod for Managing Hazard Factors to Support Operation of Automated Driving Vehicles on Road Infrastructure

김규옥, 최정민, 조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competition among the autonomous vehicle (AV, here after) developers are getting fierce, Korean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developers by deregulating safety standards and providing financial subsidies. Recently, some OEMs announced their plans to market Lv3 and Lv4 automated driving systems. However, these market changes raised concern among public road management sectors for monitoring road conditions and alleviating hazardous conditions for AVs and human drivers. In this regards, the authors proposed a methodology for monitoring road infrastructure to identify hazardous factors for AVs and categorizing the hazards based on their level of impact. To evaluate the degrees of the harm on AVs, the authors suggested a methodology for managing road hazard factors based on vehicle performance features including vehicle body, sensors, and algorithms. Furthermore, they proposed a method providing AVs and road management authorities with potential risk information on road by delivering them on the monitoring map with node and link structure.

한국어

각국의 자율주행시스템 기술개발 경쟁이 심화함에 따라 정부도 자율주행시스템의 시장 진 입을 전방위에서 지원하고 있다.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3단계 기술은 운전자가 위험 상황을 회피해야 하고, 4단계 기술은 자율주행시스템 스스로 위험 상황에 대응할 수 있어 야 한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은 도로 위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도로 인프라 정보를 운전자와 자율주행시스템에 제공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로 인프라 위 험 요소를 자율주행시스템의 ODD(Operational Design Domain) 특성에 따라 모니터링 대상별 위험 요소를 세분화하고, 각 위험 요소가 차량에 미칠 영향에 따른 위험도 등급화 및 평가 방 안을 제시하였다. 위험 상황 발생 시 자율주행차의 운행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고, 위험 요인 특 성과 물리적인 차량 조건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등급화함으로써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모니터링 정보는 관리 센터와 공유하고, 요소별 특성에 따른 노드 혹은 링크 형태로 정밀지도에 표출하여 위치정보와 위험도 등급 등 종합적 관리가 가능한 모니터링 체계 를 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개요
Ⅱ. 선행 연구 분석
1. 선행 연구 분석
Ⅲ. 도로 인프라 위험 요소 평가와 도로 운영 방안
1. 도로 인프라 위험 요소 정의 및 요구사항 정의
2. 도로 인프라 위험 요소 및 등급화 방향
3. 도로 인프라 위험 요소별 위험도 평가 방법
4. 도로 인프라 정보 제공 방향
Ⅳ.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규옥 Kyuok Kim. 한국교통연구원 미래차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 최정민 Jung Min Choi.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연구위원
  • 조선아 Sun A Cho. 한국교통연구원 모빌리티전환연구본부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