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고논문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

원문정보

Probleme bei der Einführung des autonomen Polizeisystems durch die Regierung Moon Jae-in und zukünftige Entwicklungsrichtungen

신현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우리나라에 자치경찰제 도입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도된 것은 2003년 2월에 출범한 노무현 정부라고 볼 수 있다. 그 작은 결과는 2006년 7월 1일 제주도에서 자치경찰제가 도입되는 성공적 결과를 낳았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도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지만 큰 성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침내 2017년 5월 10일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서 226개 기초자치단체 차원이 아니라 전국 17개 광역시도 차원에서 18개의 시도자치경찰위원회(경기도 남부북부 2개)가 2021년 7월 1일 창설되어 본격적으로 운영에 들어간 것은 우리나라 자치경찰사에 큰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광역시도에서 출범한 자치경찰제의 법적토대를 살펴보고 조직적, 인사적, 예산적 측면에서 어떤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에 관해 심층 분석해 본 후 우리나라 자치경찰제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도되었다.

기타언어

Es ist ersichtlich, dass die im Februar 2003 eingeführte Regierung Roh Moo-hyun der erste Versuch eines autonomen Polizeisystems in Korea war. Das kleine Ergebnis zeigte, dass das autonome Polizeisystem am 1. Juli 2006 auf der Insel Jeju eingeführt wurde. Die Regierungen Lee Myung-bak und Park Geun-hye setzten ihre Bemühungen zur Einführung eines autonomen Polizeisystems fort, jedoch ohne nennenswerte Ergebnisse. Schließlich wurden unter der Regierung Moon Jae-in, die am 10. Mai 2017 ins Amt eingeführt wurde, am 1. Juli 2021 18 Provinz- und Provinzautonome Polizeikomitees auf der Ebene von 17 Metropolen und nicht auf der Ebene von 226 Kommunalverwaltungen eingerichtet. Es wurde als großer Rekord in der Geschichte hinterlassen. Das Ziel dieser Arbeit ist es, die rechtliche Grundlage des autonomen Polizeisystems zu untersuchen, das in Koreas Metropolregionen eingeführt wurde, und die zukünftige Entwicklungsrichtung des autonomen Polizeisystems in Korea darzustellen, nachdem eingehend analysiert wurde, welche Probleme es hat Organisation, Personal und Budget.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법적 토대 분석
III. 조직적 측면
IV. 인사적 측면
V. 예산적 측면
VI. 향후 발전 방향
VII.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현기 Hyun Ki Shin. 한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겸 경기도북부자치경찰위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