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QE 요소의 국면별 훈련 방법이 골프 퍼팅 학습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the Phase-Specific Training Method of Quiet Eye Factors on Golf Putting Learning

장덕찬, 김경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efficiency of golf putting according to the period of each phase of QE elemen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hase-specific training method of the QE elements on the change of these elements and learning of golf putting. [Method] A total of 50 beginner male golfers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overall phase, motor programming phase, online control phase (i.e, online section, dwell section),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baseline measure, participants received experimental interventions in a group-assigned manner. The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were conducted the day after and three days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respectively. [Result]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overall phase group improved the most in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putting. Furthermore, this group showed a relatively long QE duration. Lastly, the QE training method focused on a specific phase also contributed to improved performance by extending the QE duration for specific phases or sec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overall phase training emphasizing both motor programming and online control by providing external attention clues in golf putting can be the most efficient gaze training method for beginner golfers through improved QE period and putting performance.

한국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QE 요소의 국면별 훈련 방법이 QE 요소의 변화 및 골프 퍼팅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함으로써 QE 요소의 국면별 기간에 따른 골프 퍼팅의 학습 효율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방법] 50명의 초보 남 자 골퍼가 참여하였으며, 전체구간 집단, 운동계획 집단, 실시간구간 집단, 지속구간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에 각 각 10명씩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사전검사 후, 피험자들은 집단별로 실험 중재를 받았으며, 실험 종료 다음날과 3 일후 각각 사후검사와 지연된 사후검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다른 집단에 비해 전체구간 집단에서 퍼팅의 정확성 과 일관성이 가장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QE 기간에서도 상대적으로 긴 QE 기간이 나타났다. 이와 함 께, 특정 국면에 초점을 맞춘 QE 훈련 방법 역시 특정한 국면이나 구간의 QE 기간 연장을 통해 수행 향상에 기 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골프 퍼팅에서 외적주의 단서를 제공하여 운동계획과 실시간 제어 의 양자 모두를 강조한 전체구간 QE 훈련이 QE 기간과 퍼팅 수행 향상을 통해 초보 골퍼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주시훈련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도구
3. 실험절차
4. 자료분석
결과
1. 퍼팅수행의 평균 반경오차
2. 퍼팅수행의 평균 가변오차
3. 전체국면 QE
4. 운동계획 국면 QE
5. 실시간 제어 국면의 실시간구간 QE
6. 실시간 제어 국면의 지속구간 QE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덕찬 Jang, Dukchan. 계명대학교
  • 김경환 Kim, Kyung-Hwan. 경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