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hen a large-scale cyber attack or terrorism occurs and the country suffers enormous damage or poses a fatal t hreat to security, social interest in nurturing cybersecurity workforce increas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often su ggests policies and guideline to train cybersecurity workforce. However, the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trained cyber workforce after they are employed in related organizations or companies is still weak. Software workf orce has a standardized qualification level model, so appropriate jobs are set and managed for each level. Cyber wor kforce also need a specialized qualification level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ir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 d education&training performance. By assigning a qualification level, the duties that can be performed for each level should be set, and the position and duty of the department should also be as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Th 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qualification level model for cyber security workforce.
한국어
대규모 사이버공격이나 테러가 발생하여 국가가 막대한 피해를 보거나 안보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었을 때에서야 비 로소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높아진다. 또한, 정부에서는 사이버보안 인력 양성과 확보 정책을 제 시하곤 한다. 하지만, 양성된 사이버보안 인력이 관련 기관이나 기업에 취업한 이후에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 는 시스템은 아직 미약하다. 소프트웨어 인력은 표준화된 자격등급 모델이 있어서 각 등급별로 적합한 직무를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사이버보안 인력도 경력, 학력, 교육훈련 실적 등을 고려한 특화된 자격등급 모델이 필요하다. 자격등급 을 부여함으로써 각 등급별로 수행할 수 있는 직무를 설정하고 부서의 직책과 직위도 등급을 고려하여 부여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보안 인력의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격등급 모델을 제안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소프트웨어 인력의 역량 등급체계
2.1 NCS 수준 체계[5,6]
2.2 ITSQF[4,7]
2.3 소프트웨어 기술자의 기술등급[8]
3. 사이버보안 인력의 자격등급 모델 설계
3.1 자격등급 모델의 필요성
3.2 자격등급 모델의 설계 요구사항
3.3 사이버보안 인력 자격등급 모델 설계
4. 자격등급 모델의 적용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