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시뮬레이션을 통해 반응조 개수 증가에 따른 MLE 및 Bardenpho 공법 최종방류수 질소 성분 특성 비교
초록
영어
Effluent nitrogens from both MLE and Bardenpho processes with same total reactor volume were characterizes by EQPS under same operation conditions. At simulation, MLSS concentrations at bioreactors were adjusted as approximately 3,500 mg/L which Gould Type I clarifier was assumed to be used for secondary clarifier. Both MLE and Bardenpho processes have equal total reactor volume. For MLE process simulation, the number of anoxic and oxic reactors are increased as 1, 2 and 4, respectively. For Bardenpho process, the number of each anoxic and oxic reactor is increased as 1 and 2, respectively. Through simulation, it is found that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efficiencies are increased as number of reactor is increased. Also, Bardenpho process shows higher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efficiencies than MLE process at the same number of reactors.
한국어
동일한 총 반응조 체적 및 운전조건에서 MLE와 Bardenpho 공법을 EQP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종방류수 암 모니아성 질소 및 총 질소 농도를 파악하였다. 이차침전전지는 Gould Type I을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해서 모든 시뮬레이 션에 있어서 생물반응조 MLSS 농도는 3,500 mg/L 근처를 가지도록 설정하였다. MLE공법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무산소 조와 호기조 개수를 각각 1, 2 및 4개가 되도록 하였고, Bardenpho공법에서는 각 호기조 및 무산소 반응조 개수를 1과 2 개로 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반응조 개수가 증가할수록 질산화와 탈질 반응의 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반응조 개수에서는 Bardenpho공법의 질산화 탈질효율이 MLE공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고찰
IV.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