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睡虎地秦墓 秦簡 『日書』 속의 五行思想 연구 - 택일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Five elements thoughts in Qin bamboo slips from Shuihudi’s Rishu - Focused on Zerishu -

수호지진묘 진간 『일서』 속의 오행사상 연구 - 택일술을 중심으로 -

김용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pending on the excavation results of archaeology in the 20th century, the excavated literature reveals the gaps in history that the existing traditional literature has not shown. Among them, Qin bamboo slips, which was discovered in Hobukseong Shuihudi in 1975, is meaningful for being the first to confirm the literature of Rishu, which has not been known. In this paper, we will check the appearance of the five element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hrough the Qin bamboo slips from Shuihudi’s Rishu. We will also study how the five elements were reflected and operated in Zerishu. The value of Qin bamboo slips from Shuihudi's thought and tactics history is that they provide data that can fill the gap in the study of the Qin Dynasty, which has no record other than history. It also shows that the five elements theory has already been formaliz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aily lives of people such as Zeri.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five elements are still unknown. However, the Qin bamboo slips from Shuihudi contains the developed appearance and influence of the five element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ancient times, people who make fortune using various tricks or those who choose to work were called Rizhe. Meanwhile, the books they used in performing this process were called Rishu. The Rishu also shows Rizhe choosing a good day and time using the five elements metho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a cross-section of the thoughts of ancient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the early techniques of the pre-qin period. Through Rishu, the editor has found that at the end of the country, many of the five elements, including the win-win mutual play of five elements, were already mature to the extent that they were similar to their modern concepts. Furthermore,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have not yet formed a complete concept. It was confirmed that these concepts are comparable to today’s theories in their completeness.

한국어

20세기에 들어서 고고학의 발굴 성과에 따라서, 출토문헌들은 기존의 전래문헌들이 보여 주지 못한 역사의 공백을 밝혀주고 있다. 그 중에서 1975년에 호북성 睡虎地 秦墓에서 발굴된 秦簡은 그동안 정확한 모습을 알 수 없었던 『日書』라는 문헌 최초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발굴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수호지 진간 『日書』를 통하여 戰國 末期의 오행사상의 모습을 확인하고, 五行思想이 擇日術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고 운용이 되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睡虎地 秦簡 『日書』의 사상사ㆍ술수사적 가치는 『史記』 이외에는 별다른 기록이 없는 秦代史 연구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자료라는 점과 五行說이 戰國 末期에 이미 현대의 모습에 가깝게 정형화되었으며 민간에 널리 퍼져서 택일 등과 같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五行說의 기원과 유래는 아직도 定說이 없지만 睡虎地 秦簡 『日書』 속에는 전국말기 무렵의 五行思想의 발달된 모습과 그 영향력이 담겨져 있다. 고대에는 각종 술수로 점을 치는 사람이나 택일을 하는 사람을 日者라고 불렀으며 이들이 이러한 과정을 행하는 과정에서 사용하였던 工具書를 『日書』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日書』 속에는 일자들이 오행의 刑沖破害와 合을 사용하여 吉日과 吉方을 선택하는 모습도 담겨져 있다. 이를 통하여 고대인들의 사유의 한 단면과 선진시기의 택일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논자는 수호지 진간 『日書』를 통하여 전국 말기에 이미 오행의 상생상극을 비롯한 오행설의 많은 부분들이 현대의 개념과 유사할 정도로 성숙하였으며 음양과 오행은 아직 완전한 合一體를 이루어 하나의 완성된 이론으로 발전하지 못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睡虎地 秦簡의 오행과 관련된 이론들은 오늘날의 이론들과 비교하여도 그 완성도에 있어서 전혀 손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수호지 진간 『日書』와 日者
Ⅲ. 일서 속의 오행사상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용환 Kim, Yong-hwan. 공주대학교 동양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