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상군의 MMPI-2, DAS 반응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판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nalysis and Discriminant for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Results MMPI-2 and DAS Responses of Clinical Outpatients Groups

최유경, 최종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paper is to examine the utility of DAS as a screening tool in hospital scene, including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1 patients who visited the Gyeonggi-do psychiatry department, and DAS and MMPI-2 were used as research tools. For data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 the type and features of latent groups classified by Latent Profile Analysis (LPA) in accordance with MMPI-2 have been examined. In the results of the LPA operated with MMPI-2, two types of potential group were yielded. Each latent group is classifi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MPI-2 profile as either "symptomatic non-appeal group" or "symptomatic appeal group". Second, When looking at the DAS characteristics of the two classified groups, the 'symptomatic non-appeal group' reported somewhat positiv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and the 'symptomatic appeal group' reported slightly more negative emotional content and self-image. Third,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hat the emotional content of DAS and the self-image scale could distinguish each latent group, showing 59.6% discriminatory power.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imulus picture between the two latent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imulus picture select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ory cont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DAS test is useful as a screening tool for screen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hospital scen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의학과를 포함한 병원 장면에서 DAS검사가 선별도구로서 유용 한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환자 151명이며, 연구 도구는 DAS와 MMPI-2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PA)과 독립표본 T검정,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MMPI-2 내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뒤 분류된 잠재집단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두 가지의 잠재집단이 산출되었으며, 각 잠재집단은 MMPI-2 프로파일에 특징에 따라 ‘증상비호소군’, ‘증상호소군’으 로 명명하였다. 둘째, 분류된 두 집단의 DAS 특징을 살펴보았을 때 ‘증상비호소군’의 경우 다 소 긍정적인 정서내용과 자기상을 보고하였고, ‘증상호소군’의 경우 조금 더 부정적인 정서내용 과 자기상을 보고하였다. 셋째, DAS의 정서 내용, 자아상 척도가 각 잠재집단을 어느 정도 판 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여 59.6%의 판별력을 보였다. 넷째, 두 잠재 집단 간 자극그림을 분석한 결과 자극그림 선택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야기 내용 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DAS가 병원장면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선별, 진단 보 조 도구로써 유용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 절차 및 통계 방법
Ⅲ. 결과
1. 잠재집단 수의 결정
2. 잠재집단별 DAS 반응 특성 차이
3. DAS 검사의 집단에 대한 판별도
4. 증상비호소군과 증상호소군의 자극그림 선택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유경 Choi, You-Kyung. 선신경정신과 서울심리연구소
  • 최종옥 Choi, Jong-Ok. 경기도립의료원 의정부병원 임상심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