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諺解佛典 연구의 학술사적 의미 고찰 - 『楞嚴經諺解』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aning of Academic History of Research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諺解佛典) - Focus on the {Korean annotation of Shurangama Sutra(楞嚴經諺解)} -

언해불전 연구의 학술사적 의미 고찰 - 『릉엄경언해』를 중심으로 -

손흥철, 박용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study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諺解佛典) based on the book of {The Korean annotation of Shurangama Sutra(楞嚴經諺解)}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studied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ncept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諺解佛典). Through this study, we comprehensively demonstrat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o this end, Chapter 2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annotation of Śūraṅgama Sūtra}, including the Venerable Admonitions, meant atonement for the political purposes of the state and for the killing of many political opponents in the process of protecting the royal family and opening the country. Chapter 3 demonstrates that academic concepts leading to Sanskrit(梵語) - Chinese language(漢語) - Korean annotation(諺解. Eonhae)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particular, it was proved that the structure of Ke-wen(科文構造) is an important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annotation. It also recognized that the reasons and concepts of the Korean people were conceptualized in Korean language in the process of the Korean annotation. Chapter 4 demonstrates that the study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discover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language, and that it is a comprehensive study that lays the foundation for thinking in Korean and humanities in Korean.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annotation of Shurangama Sutra(楞嚴經諺解)} is not just a translation, but also a conceptual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words, as well as historical, political, philological, and a study of Buddhist scripture. In addition,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proved that academic history is a field that can open a new horizon for humanities in Korea. Therefore, the study of the Korean anno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was seen as an urgent task of the times and a task of expanding the base of national spiritual culture.

한국어

이 논문에서 필자는 조선초에 간행된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를 중심으로 언해불전 연구의 의미를 고찰하고, 불경언해의 과정에서 형성된 우리말 개념의 형성과 그 특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언해불전(諺解佛典) 연구의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논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능엄경언해』를 비롯한 언해불전의 간행은 국가의 정치적 목 적과 왕실보호 및 개국 과정에서의 벌어진 많은 정적을 죽인 데 대한 속죄의 의미가 있었 다고 논증하였다. 제3장에서는 불경언해의 과정을 통하여 범어(梵語)-한어(漢語)-언해 (諺解)로 이어지는 학문적 개념이 정립되었음을 논증하였다. 특히 과문구조(科文構造)가 언해의 중요한 방법이자 특징임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언해의 과정에서 우리 민족의 사유 와 개념이 비로소 우리 말로 개념화되었다는 것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언해불전에 관한 연구가 우리 말의 원형을 발굴하고, 이것이 우리말로 사고하고 우리말로 인문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는 종합적 연구임을 논증하였다. 종합적으로 『능엄경언해』는 단순한 번역이 아니라 역사적 정치적 문헌학적 교리연구의 의 미뿐만아니라, 우리말의개념사적의미가있음을확인하였다. 그리고언해불전의연구는학술사 적으로우리나라인문학에대한종합적인새로운시각을열수있는분야임을논증하였다. 따라서 언해불전의 연구는 절실한 시대적 과제이며, 민족적 정신문화의 저변을 넓히는 과제라고 보았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楞嚴經諺解』의 문헌학적 의미
3. 『능엄경』언해의 방법과 개념화의 특성
4. 諺解佛典연구의 학술사적 중요성
5. 끝내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흥철 Son, Heung-Chul. 전 안양대학교 교수
  • 박용석 Park, Yong-Suk. 안양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