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온라인 ‘공연연계-예술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쟁점 연구 - 연계교육 참여자 FGI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Qualitative Maturity of Online ‘Performance-Linked Arts Education’ - Focused on FGI -

안지언, 이소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ssues for the qualitative maturity of 'performance-linked arts education' in a changing arts education environment due to a prolonged pandemic situation. As confusion is caused in the creativity of performances and aesthetic education amid the increasing number of online performance-linked arts education cases, issues and suggestions are needed through research. In response, with a previous research analysis Maxine Greene’s theory of 'Aesthetic Education' , 'Excellence' and ‘Cooperation' was based for this study. An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wo sessions of focus group interviews(FGI) to arts instructo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on performance-linked arts education programs sponsored by foundations and education offices and organized by private theater companies. Through FGI, tasks and alternatives for qualitative maturity of performance-linked arts education in pandemic era after diagnosing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online programs were suggested. Because 'performance-link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must coexist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ing arts eco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leap by in the issues and suggestions of performance-linked art education to find such a direction of practic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included.

한국어

본 연구는 장기화되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변화하는 문화예술교육 환경 속에서 특별히 온라인 공연연 계 -예술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쟁점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현재 온라인 공연 및 예술교육 사례들이 늘어가는 가운데 다양한 환경에서‘공연의 창작성과 예술교육의 심미적 교육 수행을 지켜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혼선이 야기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공연을 하나의 프리텍스트로 하여 공연에 대한 이 해와 감상에 있어 참여자(관객)의 자발적 참여를 이끄는 공연연계-예술교육이 주목되는 바이다. 이러한 공연연계-예술교육이 질적 담보를 위해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과 현장 동향을 살핀 후, 맥신 그린(Maxine Greene)의 ‘심미적 교육’과 ‘수 월성과 협력’ 이론에 기반하여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재단 및 교육청이 후원하고 민간 극단이 주관한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공연연계-예술교육’에 관한 예술강사, 교육행정가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2회 진행했다. FGI를 통해 온라인 공연연계-예술교육의 현황 및 내용 진단 후 공연연 계-예술교육의 질적 성숙을 위한 과제와 대안을 제시하였다. ‘공연연계-예술교육’은 공연예술생태계와 맞물려 공존·상생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실천방향 모색을 위한 공연연계-예술교육의 쟁점을 진담함으로 질적 도약에 기여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담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팬데믹 시대, 공연예술과 예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1. 현장 동향 및 선행연구
2. 맥신 그린(Maxine Greene)의 심미적 교육과 상상력
3. 맥신 그린의 수월성(excellence)과 협력(partnership)
Ⅲ. 연구방법
1. 연구방법 및 개요
2. 연구 절차 및 연구윤리
Ⅳ. 연구 결과: FGI를 통한 온라인 공연예술-예술교육의 질 제고
1. 심미적 교육(쟁점 및 요소)
2. 수월성과 협업(쟁점 및 요소)
3. 팬데믹 상황에서 기반(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지언 An, Jiun. 상명대학교 글로벌예술교육연구소 전임연구교수
  • 이소희 Lee, Sohui.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