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자의 성운(聲韻)과 훈고(訓詁)에 의한 독해

원문정보

The interpretation by phonology and scholium of chinese characters

이충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the korean pronunciation and meaning by phonology and scholium of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by phonology, the homophonous speller shows that pronounces ‘the 聞(hear) with the 問(door)’ and means ‘the reputation’ or ‘to be heard’ or ‘the rumor’. The fanqie(反切) shows that pronounces ‘坐(to seat) with the initial consonant of 才(the talent) and the final consonant of 臥 (to lie)’ and means 座(a seat). The four tones of standard chinese pronunciation shows that ‘見(to appear) with the third tone’ means ‘to meet or to appear’. Also the switching letters with rhyme scheme shows that 行德(doing virtue) is the inversion of 德之行.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by scholium, in case of that 者is used as the pronoun of humans, things, work and time or as the chinese modal practice(語 氣助詞), the presentation and/or the sentence of decision is interpreted by ‘… is … (…는 …이다)’. In case of the correction of a letter-meaning(字義辨正), 吾 connotes ‘toward me [就己]’ and 我connotes ‘because of others [因人]’. The scholium terminology of ‘之言’ and ‘之爲言’ shows the scholium related to the phonology of the same initial consonant(雙聲) or the same final consonant(疊韻) of the annotate-letter(註釋語) or the annotated-letter(被註釋語) such as ‘學之 爲言效也’, ‘瑕之言胡也’ etc..

한국어

본고는 한자의 성운(聲韻)과 훈고(訓詁)에 의한 국음(國音)과 국의(國 義)를 추구한 것이다. ‘성운에 의한 독해’에서는 직음(直音)에서 ‘문 음문(聞音問)’이 ‘명성. 들리다. 소문’, 반절(反切)에서 ‘좌 재와반(坐才卧反)’이 ‘자리[座]’, 사성 (四聲)에서 ‘현 거성(見去聲)’이 ‘뵙다. 나타나다’, 용운도치(用韻倒置)에서 ‘덕지행(德之行)’이 ‘행덕(行德, 덕을 행하다)의 도치’임을 밝혔다. ‘훈고에 의한 독해’에서는 ‘자(者)’에서 대명사인 경우 인(人)⋅물(物)⋅사 (事)⋅시간(時間)을 나타내는 별사사(別事詞), ‘조사(助詞, 어기사)’인 경우 ‘제시 표현[表提示]’ 또는 판단구(判斷句)의 ‘…은 …이다’로 독해됨을 밝혔다. ‘오(吾)와 아(我)의 자의변정(字義辨正)’에서는 ‘오(吾)’가 ‘자기를 향하여[就己]’, ‘아(我)’가 ‘남을 인하여[因人]’로 쓰임을 밝혔다. ‘지언(之 言)⋅지위언(之爲言)’의 훈고용어에서는 ‘學之爲言效也’, ‘瑕之言胡也’ 등 에서 피주석어(被註釋語)와 주석어(註釋語)가 쌍성(雙聲) 또는 첩운(疊韻) 의 성운관계로 이룩된 훈고임을 밝혔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성운에 의한 독해
1. 직음(直音)에 의한 독해
2. 반절(反切)에 의한 독해
3. 사성(四聲)에 의한 독해
4. 용운도치(用韻倒置)
Ⅲ. 훈고에 의한 독해
1. 자(者)
2. 오(吾)와 아(我)의 자의변정(字義辨正)
3. 지언(之言)⋅지위언(之爲言)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충구 Lee, Choong-Koo. 단국대학교 한중관계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