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election Attributes and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the Traditional Alcohol in Chungnam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sumer’s selection attributes related to traditional alcohol and suggest their product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these, this paper derived the 4 attributes and 17 levels from traditional alcohol and estimated the part-worth and relative importance using the conjoint model. As a result, we found out the optimal virtual product combination that had derived 11∼20%, 500㎖, 15,000 won from traditional alcohol. Moreover, we estimated the market share related to the optimal virtual product combination using the maximum utility model, BTL model, and logit model, and the values are 9.49, 8.61, 16.17, respectively.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we can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below. First, the traditional liquor market also has to keep up with the latest trend of alcohol consumption as well as popular alcohol. Second, there is also a niche market that does not match the liquor consumption tr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ducts to target the market. Third, The new traditional alcohol market can be generated by pure liquor as well as popular makgeolli (rice win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has a theoretical in terms of marketing research.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growth potential through product differentiation in the traditional liquor market. Second, this paper suggested the marketing information for the traditional liquor market. Lastly, this paper secured diversity of research by expanding various alcohol types.
한국어
본 연구는 전통주에 대한 소비자 선택속성을 탐색하고 제품차별화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통주에 대한 4개의 속성과 17개의 수준을 도출하고, 컨조인트 분석을 이 용하여 부분가치와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통주의 최적 가상상품 조합은 약주, 11∼20%, 500㎖, 15,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최적의 가상상품에 대한 시장점유율을 최대효용모형, BTL 모형, 로짓 모형으로 예측해 본 결과, 각각 9.49, 8.61, 16.17로 예측되었다. 이 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주도 대중주류와 마찬가지로 최신 주류소비 트렌드를 따라가야 한다. 둘째, 주류 트렌드와 부합하지 않는 틈새시 장도 존재하며, 그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제품개발도 필요하다. 셋째, 대중적인 막걸리가 아닌 약 주를 통하여 새로운 전통주(약주)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마케팅 연구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 의의도 갖고 있다. 첫째, 전통주 시장에서 제품차별화 전략을 통한 그 시장 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둘째, 전통주에 대한 가상상품 프로파일을 구성하고 최적의 상 품 조합을 도출하여 제품차별화를 위한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주 시장 연구 를 다양한 주종으로 확대하여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전통주의 정의
2. 제품차별화 이론
3. 전통주 선택속성
Ⅲ. 전통주의 현황
Ⅳ. 연구방법
1. 컨조인트 분석
2. 전통주의 선택속성
Ⅴ. 분석 결과
1. 데이터 수집
2. 부분가치 추정
3. 시뮬레이션을 통한 시장점유율 추정
Ⅵ. 제품차별화 전략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