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Germany’s Corona Crisis : The Authoritarian Turn in Public Policy and the Rise of the Biosecurity State (2020-2022)

원문정보

독일의 코로나-19 위기 : 공공정책에서 권위주의적 전환 그리고 바이오 국가의 등장(2020-2022)

Jörg Michael Dostal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Corona crisis policies in Germany between January 2020 and March 2022. During this period, Corona crisis management can be analytically disaggregated into four different time periods. Each stage of policy-making included steadily growing authoritarianism combined with unclear objectives and erratic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policy-making was driven by a closed community of advisors linked to government-financed research institutes, while other groups of experts were excluded from deliberation and decision-making. The almost single-minded emphasis on the rapid rollout of mRNA ‘vaccines’, i.e. efforts to ‘solve’ the crisis by way of pharmaceutical intervention, results currently in the imposition of a new form of authoritarian statehood, namely a ‘biosecurity state’. The three substantial chapters in this paper (II-IV) will discuss, in turn, how actors, ideas, and institutions affected German government policies since the start of the Corona crisis. It is argued that Germany’s closed style of policy-making under crisis conditions severely undermines the norms and values of liberal democracy.

한국어

이 논문은 2020년 1월부터 2022년 1월까지의 독일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위기대응정책에 대해 연구한다. 이 시기는 크게 4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다. 위기대응정책의 모든 단계는 증가하는 권위주의와 불확실하고 결함 있는 커뮤니케이션으로 특징지어진다. 전 기간에 걸쳐, 정책은 정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는 연구 기관들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있는 폐쇄적인 자문 그룹에 의해 결정되었다. 다른 전문가들은 토론과 의사 결정에서 제외되었다. 정치는 거의 전적으로 mRNA 백신 캠페인의 빠른 실행에만 초점이 맞추어 졌다. 즉, 위기가 제약회사의 개입을 통해 해결될 수 있는 것처럼 묘사되었다. 이 전략은 새로운 형태의 권위주의 국가성, 즉 '바이오안전 국가 (biosecurity state)’의 도입을 의미한다. 제2장부터 4장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19 위기 발생 이후 독일 정부 정책에서의 행위자, 이념 및 조직의 영향에 관해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서 독일의 투명하지 않은 폐쇄적인 정치과정이 자유 민주주의의 규범과 가치를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목차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perspectives on public policy: actors ideas, and institutions
1. Actors: Advocacy coalitions and network analysis
2. Ideas: Policy paradigms, the ‘biosecurity state’, and policy entrepreneurship
3. Institutions: Core executives and decision-making
III. Germany’s Corona crisis: descriptive account(2020 - 2022)
1. Arrival of the crisis
2. First stage of the crisis: March-October 2020
3. Second stage of the crisis: November 2020-March 2021
4. Third stage of the crisis: April-September 2021
5. Fourth stage of the crisis: Feedback on vaccine rollouts and period since October 2021
IV. Applying competing theoretical perspectives to explain the German case
1. German advocacy coalitions during the Corona crisis
2. Policy paradigms, the ‘biosecurity state’, and policy entrepreneurship in Germany
3. Germany’s core executive and decision-making
V.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örg Michael Dostal Associate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