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서학과 대학생의 전공만족이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 진로포부의 매개효과 및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경험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secretarial department on career competency :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 experience

황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in secretarial depar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compet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service experience of career and employment within the univers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competenc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jor satisfaction, career aspirations, reflective ability, relationship competency, and behavioral competency of secretaria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competenc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aspiration and career competenc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Participation in career courses, career employment counseling, and career employment program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flection competency, relational competency, and behavioral competency, and desired job-related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al competency and behavioral competency. Third,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spiration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competency. Also,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Fourth, it was found that career aspiration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competency. Fifth, the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competency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career employment support service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aking career employment courses, career employment counseling, and participation in career employment progra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competency. Job-related experience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s, relational competency, and behavioral competency, whereas i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s and reflective capability.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direction of major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 secretarial depart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학과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포부, 진로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전공만 족도와 진로역량의 관계에 있어서 진로포부의 매개효과와 진로포부와 진로역량의 관계에서 대학 내 진 로취업지원 서비스 경험의 조절효과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비서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교 2곳과 2년제 대학 6곳에 재학중인 비서학과 대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학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진로포부, 성찰역량, 관계역량, 행동역량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와 진로역량,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 진로포부와 진로 역량의 관계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취업교과목 수강과 진로취업상담, 진로취업 프로그램 참여는 성찰역량, 관계역량, 행동역량과, 직무 관련 경험은 관계역량과 행동역량과 정(+)의 상 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는 성찰역량, 관계역량, 행동역량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들은 행동역량, 성찰역량, 관계역량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공 만족도는 진로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공만족도와 진로역량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모 두 진로포부가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포부와 진로역량과의 관계가 진로 취업지원 서비스 경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한 결과, 진로포부와 진로역량의 관계에서 진로 취업교과목 수강, 진로취업상담, 그리고 진로취업프로그램 참여의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었다. 직무관 련 경험은 진로포부와 관계역량, 행동역량과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던 반면, 진로포부와 성찰역 량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서학과 대학생들의 전 생애 관점에서 의 진로발달을 위한 전공교육의 방향과 전공 및 진로취업 지도에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2.1 전공만족도
2.2 진로포부
2.3 진로역량
2.4 대학 내 진로취업지원 서비스
III.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및 가설
3.2 연구대상
3.3 측정도구
3.4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3.5 분석방법
IV. 연구 결과
4.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2 가설 검증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황정희 Jung-hee Hwang. 백석예술대학교 경영행정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