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ublic Participatory Exhibition Using Museum Collection
초록
영어
In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that art museums should be places of social exchang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public to participate in museum management and exhibition organiz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oncrete practical aspects of such public participat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participatory exhibition
한국어
미술관은 사회적 교류의 장이 되어야 한다는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기관의 운영과 기관의 핵심 활동인 전시기획에 일반대중을 참여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 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대중 참여의 구체적인 실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프랑스 루앙 미술관에서 지속적으로 기획하고 있는 소장품을 활용한 참여전시 <관람객들의 방>을 분석하고 그 가치와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관람객들의 방>은 미술관 현장과 온라인상의 인터넷 사이트, 사회관계망서비스 (SNS)를 이용해 불특정 다수가 기존에 미술관 전문인력이 수행해온 전시기획 업무 중 전시작품의 선정에 참여한 전시였다. 또한 전시작품 선정이 완료된 후 자발적으로 지 원한 지역민들이 미술관 전문인력이 주재한 아틀리에를 통해 작품 설명문 작성에 참여 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의 방>은 미술관 활동에 지역 공동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고, 특히 온라인 투표에 25세-34세 대중의 가장 많은 참 여를 이끌어냄으로써 젊은 관람객층 개발의 가능성도 시사했다. 본 논문은 미술관의 전시기획에 있어 대중 참여에 대한 미술관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참여전시의 실천에 관한 학술적 논의가 미흡한 상황에서 미술관이 사회적 참여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과 더불어 웹 2.0 시대에 수장고에 보관된 소장품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고찰
1. 미술관의 수집과 전시 패러다임의 변화
2. 미술관의 대중 참여전시 사례분석
III. 루앙 미술관과 소장품전 <소장품의 시대>
IV. 대중 참여전시 <관람객들의 방>
V. 나가는 말: 대중 참여전시의 가치와 의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