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을 활용한 2018 초등·중학 문해교육과정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201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Using Posner's Curriculum Analysis Theory

윤미경, 이희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8 is developed, operated, and evaluated using Posner's curriculum analysis theory. To this end, 8 key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four factors: curriculum documents and origins, curriculum proper, curriculum in use, and curriculum critique, and literacy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literacy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low-educated adults as functional literacy became important as an adult's basic ability to develop national human resources. Second, the 2018 revised literacy curriculum has the same educational purpose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ut the educational content and organizational principles have been reorganized to suit the specificity of adult learners. Third, in order for the literacy curriculum to be implemented, structural factors that limit the teaching practice of literacy teachers must be resolved, and the curriculum must be implemented and evaluated reflecting learner specific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Fourth, the literacy curriculum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 based on adult experience rather than subject knowledge, and for this purpose, policy support for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s should be expanded.

한국어

이 연구는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을 활용하여 2018년 개정된 초등·중학 문해 교육 교육과정이 어떻게 개발, 운영, 평가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하여 교육과정 문서와 기원, 교육과정 고유 영역,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비평의 4개 요소에서 8개의 핵심 질문을 추출하여 문해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째, 문해교육과정은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성인의 기초능력으로 기능 문해가 중요 해짐에 따라 저학력 성인의 학력인정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기반으로 하여 개 발되었다. 둘째, 2018 개정 문해교육과정의 교육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동일하 나 교육 내용과 조직 원리는 성인 학습자의 특수성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셋째, 문해교 육과정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문해교사의 교수 실제를 제한하는 구조적 요인을 해결해 야 하며, 학습자의 특수성과 개인차를 반영한 교육과정의 실행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문해교육과정은 교과 지식보다는 성인의 경험에 기반한 내용으로 구성해 야 하며, 이를 위해 문해교육기관과 교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우리나라 성인 문해교육 정책의 변천
2.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 현황
3.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 이론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자료 수집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문해교육과정 문서와 기원
2. 문해교육과정의 고유 영역
3. 교육과정 운영
4. 교육과정 비평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미경 Yoon, Mi Kyung. 중앙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 이희수 Lee, Hee Su. 중앙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