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Units in High School Social Textbooks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nalysed the unit that intensively learns multicultural society amo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 currently in use in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develop the next textbook by analyzing the multicultural units of integrated social textbooks. Learning materials and learning contents of the unit were analysed by identity domain, diversity·plurality domain, and social justice domain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suggested by the "Revision Plan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Elem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hree domains is diversity·plurality, and as a detailed domain, diversity of culture domain and recognition of pluralism domain have large proportion. Next, social justice domain has high proportion, and among them, there were many learning contents in the minority and discrimination parts. However, there were no learning content of identity domain, which represents 95%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the integrated society. Currently, subjects that learn multicultural content fragmentarily in high school are social studies, Korean geography, social culture, life and ethics but it is insufficient for students to hav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other way, recognition book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should be produced based on multicultural curriculum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and it should be used as a subject for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or liberal arts high school.
한국어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사용 중인 통합사회 교과서 내용 중 다문화 사회를 집중적 으로 학습하는 단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을 분석하여 차기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초·중등학교 교 육과정 및 교과서 다문화적 요소 분석을 통한 개정 방안연구(교육과학기술부, 2009) 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해당 단원의 학습 자료와 학습 내용을 정체성 영역, 다 양성·다원성 영역, 사회정의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영역 중 가장 많은 비중은 다양성·다원성 영역이며, 세부영역으로는 문 화 다양성 부분과 다원성 인식 부분 학습 내용이 많았다. 다음으로는 사회정의 영역 내 용의 비중이 높으며, 그중에서도 소수자 및 차별 부분 학습 내용이 많았다. 그러나 초 등학교 교과서에서 95% 비중을 나타내는 정체성 영역의 학습 내용은 통합사회 교과서 에는 없었다. 현재 고등학교에서 다문화 내용을 학습하는 교과는 통합사회, 한국지리,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등에서 단편적으로 교육하고 있으나 학생들에게 다문화 교육을 하기에는 부족하다. 다른 방안으로는 초·중·고 수준별로 다문화 고육과정을 바탕으로 다문화와 관련된 인정도서를 제작하여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나 고등학교에서 교양 과목으로 활용하는 것이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
2. 다문화교육과 통합사회 교과서
Ⅲ. 연구설계
1. 연구 방법
2. 분석 대상 및 분석틀
Ⅳ. 분석결과
1. 정체성(Identity) 영역의 내용 요소
2. 다양성·다원성(Diversity·Pluralism) 영역의 내용 요소
3. 사회정의(Social Justice) 영역의 내용 요소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