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 공간 스토리텔링을 위한 향유자 인식 연구 :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onsumers’ Cognition for Multicultural Spatial Storytelling : Focusing on Social Media Network Analysis

윤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consumers’ cognition embedded in discourses regarding Korean multicultural space, by conducting the social medial sentiment analysis. The multicultural space, a place in which a variety of nations, languages, religions and cultures are mingled or the ethnicity of immigrants staying in Korea is strongly manifested, is a fluid space which is formed by immigrants and produces their identity and even commoditizes it. Such a space where the exchange among various subjects including immigrants, multicultural policy officers, non-immigrants, tourists, etc. occurs aims for the communication among the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spatial stories intended by space producers are told. This study drew the network relationship by collecting the unstructured data about Seorae Village and Daerim-dong in Seoul, Multicultural Stress in Ansan and Dongsang-dong, Kimhae-si in Gyeongnam, which were issued by a Naver blog in 2019, and analyzed the discourses about each space by conducting a sentiment analysis. This is an analysis on texts recreated by enjoyers and the Korean society’s discourse regarding the spaces. The findings, the real results derived from non-immigrants’ perspectives on the Korean multicultural spaces, can be used as strategies for the future storytelling about multicultural spaces.

한국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감성 분석을 통하여 국내 다문화 공간 관련 담론에 내재된 공 간 향유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 공간은 다양한 민족, 언어, 종 교, 문화가 혼재되거나 국내 체류 이주민의 에스니시티가 강하게 표출되는 장소로 이 주민에 의해 형성되고 이주민 정체성을 생산하며 생산된 이주민 정체성을 상품화하기 도 하는 유동적인 공간이다. 이주민, 다문화 정책 담당자, 비이주민, 관광객 등 다양한 주체의 교류가 일어나는 다문화 공간은 이들 간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서 는 공간 생산자가 의도한 공간의 이야기가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 다. 본 연구는 서울 서래마을, 서울 대림동, 안산 다문화거리, 경남 김해시 동상동 일대 를 대상으로 2019년 네이버 블로그에 발행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계 를 도출하고 감성분석을 통해 각 공간에 관한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는 향유자가 재창 조한 텍스트에 대한 분석으로 해당 공간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이다. 이 연구의 결과 는 비이주민이 국내 다문화 공간을 바라보는 현실 그 자체로 향후 다문화 공간의 스토 리텔링을 위한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다문화 공간과 공간 스토리텔링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서울 서래마을
2. 서울 대림동
3. 안산 다문화 거리
4. 김해 외국인 거리
Ⅴ. 논의 : 다문화 공간 스토리텔링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희진 Heejin Yun. 백석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