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상 운송업의 산업연관분석 및 연계구조 네트워크 분석

원문정보

Industry Linkage Analysis and Link Structure Network Analysis of Water Transportation Industry

박성민, 박찬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uced effect, network connectivity, and network visualization of the water transportation industry on the overall economy in relation to all industries. For this, various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water transportation industry are analyzed using industry linkage analysis and unit structure matrix, and network visualizatio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network connectivity and NetDraw using Ucinet 6 that utilizes unit structure matrix and inverse matrix fun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results of input coefficien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and inter-industry chain effect were presented as various inducement coefficients in the water transportation industry. content was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current position and status of the water transportation industry and its relationship with all industries were confirmed, and the strategic relationship with which industries it should be presented was presen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various induced effects, connectivity (centrality), and network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industry-related analysis published since the 2000s.

한국어

본 연구는 수상 운송업이 전체 산업들과의 관계 속에서 경제 전반에 미치는 유발 효과 및 네트워크 연결성 과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산업연관분석과 단위구조행렬을 활용하여 수상 운송업 의 각종 유발계수를 분석하며, 단위구조행렬과 역행렬함수를 작성하고 Ucinet 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성과 NetDraw를 활용하는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을 시행한다. 연구결과 수상 운송업의 각종 유발계수로서 투입계수,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산업간 연쇄효과의 분석 결과를 제시 하였으며, 네트워크 연결성으로서 연결중 앙성, 인접중앙성, 사이중앙성 및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상 운송업의 현재 위치와 현황 및 전체 산업들과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어떠한 산업들과 전략적 관계를 가져야 하는가를 제시 하였다. 향후에는 2000년대 이후 발간된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각종 유발 효과 및 연결성(중앙성),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의 변동 현황과 추이에 대한 사항을 추가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2.1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물류산업 선행연구 검토
2.2 산업연관분석 및 산업연관표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산업연관표 활용 관련 계수 분석 방법
3.2 사회연결망 네트워크 분석
3.3 물류산업의 분류
4. 실증분석 및 결과
4.1 산업연관표 관련 계수 분석
4.2 사회연결망 네트워크 지수 분석 결과
4.3 사회연결망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성민 Sung-Min Par.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BK21사업단 박사후 연구원
  • 박찬권 Chan-Kwon Park. 경북대학교 건설환경에너지융합기술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