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佔畢齋集」 ‘詩集’ 교감결과 나타난 양상과 분석

원문정보

The Bibliographical Approach to Poems of Jeompiljaejip

「점필재집」 ‘시집’ 교감결과 나타난 양상과 분석

서강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bibliographical approach on about collection of poems of the Jeompiljaejip(佔畢齋集). They each different versions the Jeompiljaejip are as below. The Edition of 1520, Gyeongjinbon(庚辰本), the Edition of 1649, Gichukbon(己丑本), the Edition of 1789, Giyubon(己酉本), the Edition of 1869, Gisabon(己巳本), the Edition of 1892, Imjinbon(壬辰本), the Edition of 1917, the Edition of 1938. In this research take the Gyeongjinbon(庚辰本: the Edition of 1520) as the original script and compared each Gichukbon(己丑本: the Edition of 1649)․Gisabon(己巳本: the Edition of 1869); comparative different Chinese character in each different versions, that appearance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yeongjinbon(庚辰本: the Edition of 1520) was the best at textual bibliography.

한국어

본 연구는 「佔畢齋集」 ‘詩集’ 총 23卷을 교감한 결과, 나타난 양상을 고찰하고 원인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여러 異本이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문자의 異同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점필재집」의 각 이본을 교감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여 그 원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점필재집」은 경진본(1520: 중종 15년), 기축본(1649: 인조 27년), 기유본(1789: 정조 13년), 기사본(1869: 고종 6년), 임진본(1892: 고종 29년), 1917년본, 1938년본 총 7차례 간행되었다. 이 중에서 경진본을 底本으로 삼아 기축본과 기사본을 대교하여 교감한 후 「점필재집」 교감 결과 나타난 다양한 양상을 고찰하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교감은 원문서지학의 분야로 원문의 대비를 통하여 정확한 원문을 복원하는 데에 있다. 정확한 원문이란 최초의 저자가 집필한 원문을 말한다. 단순히 서로 다른 相異字를 대교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대교한 문자에 대한 정오의 분석도 따라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가장 우수한 판본을 분별하여야 한다. 「점필재집」의 대교결과 독음에 의해 발생한 동음의 문자에 대한 오류, 문자의 형태가 유사하여 생긴 오자, 문자의 도치에 의한 도어, 편제가 뒤섞인 착간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을 분석한 결과 원문서지학적으로 가장 우수한 판본은 最古本인 경진본이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저본과 후간본 간의 문자변화 및 삭제ㆍ추보 양상
2.1 각 異本 간 문자변화 양상
2.2 己巳本에서 삭제와 추보의 양상
3. 각 異本 간 相異字의 誤字유형
3.1 同音에 의한 誤字
3.2 字型이 유사한 誤字
3.3 缺字ㆍ倒語ㆍ錯簡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서강선 Seo, Kang-Seon.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