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통도사 소장 대한제국 광무 3년(1899) 고려대장경의 인경과 봉안

원문정보

Printing and enshrining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3rd year of Gwangmu (1899)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in Tongdosa Temple

박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3rd year of Gwang-mu (1899) of the Korean Empire,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Koreana was made with the aspirations of the country and the emperor in the midst of reorganizing the national system and promoting modern reform under imperialist aggression. This was a national buddhist project in which members of the royal palace participated by the emperor's decree, and it was also made in combination with fundraising activ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such as Beom-un at Hwagyesa Temple and Yongak Hye-gyeon at Tongdosa Temple. Gwangmu Ingyeong is groundbreaking in that it is the first King's Decree since King Sejo of the Joseon Dynasty. Fundraising activities of the cost of the Daejanggyeong Ingyeong can be examined through Beomun's Gwonseon-mun and Yongak's Yongakdang-sagojip.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Gwangmu Ingyeong were divided into roles such as editing(編輯) and proofreading(校訂) etc,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reached 287, including Dohwaju Beom-un, Yong-ak, and Po-eung. Printing began on March 7, 1899, and printing of 4 copies of the Tripitaka Koreana was completed on April 20. After printing the Tripitaka Koreana, a ceremony for reading the Tripitaka Koreana for 7 days and a Hoehyangjae were held on May 2, 1899. 4 copies of the Tripitaka Koreana were distributed to the three treasure temples, Haeinsa, Tongdosa, Songgwangsa, and 13 Provincial temples. Looking at the process of enshrining the Tripitaka Koreana at Tongdosa Temple, it departed from Haeinsa on May 2, 1899 and arrived at Tongdosa on May 7. Yongak started the construction of Janggyeonggak in 1900, enshrined the Tripitaka Koreana on September 25, 1901, and now it is stored in the Seongbo Museum.

한국어

대한제국 광무 3년(1899)의 대장경 인경은 열강의 제국주의 침략 아래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는 가운데 위국우세(爲國祐世)의 염원을 담아 이루어졌다. 이는 황제의 칙명으로 제궁(諸宮)의 구성원이 참여하는 국가적 불사였고, 한편으로는 화계사 범운, 통도사 용악 혜견 등 불교계의 권선과 불사 추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었다. 광무 인경은 조선시대 세조 이래의 첫 칙명 인경인 점에서 획기적이며, 1898년 5월 황제의 칙명을 받들어 궁내부에서 준비를 시작하였고, 대장경 인경 비용의 권선과 모연은 범운의 「권선문」과 용악의 『용악당사고집』을 통하여 살펴볼 수있다. 광무 인경의 인경조직과 운영은 편집, 편장교정, 서제도감, 자함도감, 인출도감, 인출인, 결책인, 도책장, 도결책원 등으로 역할을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참여 인원은 도화주 범운, 용악, 포응 등을 비롯 287인에 달한다. 1899년 3월 7일 인경을 시작하여, 4월 20일에 대장경 4부의 인성을 완료하였다. 대장경 인경을 마치고 경찬재, 7일간의 대장경 전독 의례, 1899년 5월 2일 회향재를 설행하였다. 인경본 4부는 삼보사찰인 법종 본사 해인사 1부, 불종 통도사 1부, 승종 송광사 1부, 13도 사찰에 1부를 나누어 배포하였다. 통도사의 광무 인경 불사 참여는 용악당의 통도사 금강계단 예배와 해인사 정진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1898년 인경 칙명과 함께 용악은 통도사를 중심으로 인경 경비를 모연하여 참여하였다. 용악은 1899년 인경이 완료된 뒤에 1부를 통도사에 봉안하였고, 그의 입적까지 통도사에 주석하며, 다양한 불사와 수행에 주력하였다. 통도사의 대장경 봉안 과정은, 1899년 5월 2일 해인사를 출발하여, 5월 7일 통도사에 도착하였다. 용악은 1900년 장경각의 창건을 시작하여, 1901년 9월 25일에 대장경을 봉안하였고, 전각을 달리하여 봉안하던 중, 현재는 성보박물관에 수장하고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장경 인경 배경과 통도사의 참여
1. 인경 배경과 발원
2. 범운 취견의 권선과 용악 혜견의 참여
3. 대장경 인경 비용 모연
Ⅲ. 대장경 인경과 통도사 봉안
1. 인경 과정
2. 인경 조직과 운영
3. 인경 경찬 및 봉안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용진 Park, Yong-Jin. 국민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