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산 개심사 보현선원 목조보살좌상 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Wooden Seated Bodhisattva of the Bohyeon Seon (Zen) Center at Gaesimsa Temple, Seosan-si

김추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Daejeokjeon (The Hall of Great Silence) of the Bohyeon Seon (Zen) Center in Gaesim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Seosa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re is a wooden seated bodhisattva (113 cm high) enshrined on the right side, as an attendant. This statue hasn’t been accessible to the public for a long time, as it is enshrined in the Seon center, a practicing ground. For that reason, it has neither been introduced to the public, nor researched for its value. This abstract aims to determine the production date of the wooden statue and explore its characteristics, following its study. In Gaesimsa, there are almost no records about the temple, nor reference materials available. The history of the enshrinement of the wooden seated bodhisattva was primarily verified by property ledgers created by the Government-Gener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in addition to modern temple records. Through these source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transfer of its enshrinement at the Bohyeon Seon (Zen) Center in 1995, following the statue’s enshrinement in Simgeomdang (The Hall of Mind-Sharpening) of Gaeunsa Tem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 also know that it was placed in storage during the 1960s. Comparing this statue to others constructed in the same period, the production of the wooden seated bodhisattva of Gaesimsa Temple is believed to be from the 14th century, in the late Goryeo period (918-1392). Images from an X-ray scan, conducted as a part of the scientific research, corroborate the fact that Bulbokjang, sacred objects stored in the abdomen of the statue, remain inside. After further investigation, when the letter of aspiration is discovered,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statue can be pinpointed much more accurately. When it comes to the proportions and clothing style of the wooden seated bodhisattva of Gaesimsa Temple, its traditional elements are identified as having been influenced by China’s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These are commonly found in the Buddha statues of the late Goryeo period (918-1392) in souther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particular, the areas of Seosan and Taean in the province were key locations leading to the southern route to Ningbo, a major port in east China’s Zhejang Province, beginning from Kaesong, in North Korea. Due to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frequent exchanges between cultures must have taken place with Ningbo, China. From that time onward, these region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China’s Southern Song Dynasty, unlike other areas. In addition, it can be assumed that their Buddhist sculpture style was likely preferred even during the 14th century period, despite the interference of the Yuan Dynasty of China (1271-1368).

한국어

충청남도 서산 개심사 보현선원의 대적전에는 높이 113cm의 목조보살좌상이 우협시로 봉안되어 있다. 이 상은 수행공간인 선원에 봉안되어 그 동안 일반에 공개되지 않아 상이 소개되거나 가치가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목조보살좌상의 제작시기를 추정하고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심사에는 조선후기 저술된 사적기나 참고할 만한 사료들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일제강점기에 총독부에 의하여 조사된 재산대장과 근·현대의 사찰 자료를 중심으로 목조보살좌상의 봉안 내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 상은 일제강점기에 개운사 심검당에 봉안되었으며, 1960년대에 노전(사찰 내 수장고), 1995년에 보현선원으로 봉안처가 변경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보살상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개심사 보살좌상의 제작 시기를 고려 후기인 14세기로 추정하였다. X-ray를 통한 과학적 조사과정에서 불상 내부에 불복장이 남아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추후 조사를 통해 발원문이 확인되는 경우 제작시기를 좀 더 명확하게 살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개심사 목조보살좌상은 상의 비례나 착의법에서 중국 남송의 영향을 받은 전통적인 요소들이 확인되는데, 이는 충청남도 지역에 남아있는 고려 후기 불상들과 공통점이 확인된다. 충청남도 지역, 그 중에서도 서산과 태안 지역은 중국 남송 영파지역에서 개성으로 이동하는 남방항로의 중요 요충지 였다. 때문에 지역적으로 중국 남송과의 문화교류가 빈번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때문에 원간섭기인 14세기에도 다른 지역과 달리 이 지역에 남송의 영향을 받은 불교 조각 양식이 선호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개심사 보현선원 목조보살좌상의 봉안 내력
Ⅲ. 개심사 보현선원 목조보살좌상의 현상과 제작시기
1. 목조보살좌상의 존명 검토
2. 목조보살좌상의 제작시기 검토
Ⅳ. 개심사 목조보살좌상과 충청남도 지역 고려후기 불교조각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추연 Kim Chuyeon.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 행정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