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ategic Value of Multi-Persona in Metaverse From a Place-Branding Perspective - Focusing on MZ Generation -
초록
영어
Today, the convergence of the real and virtual worlds has brought changes in lifestyle and consumption culture, and the meaning and role of places have also changed. T he metaverse space has evolved into a concept that inclu des a place of communication that replaces the existing place for the MZ genera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metaverse place branding strategic value study that pro vides multi-persona strategies and implications by exami ning identity psychologically and analyzing the characteri stics of the MZ genera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domestic and foreign brand cases were analyzed and the MZ genera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meta verse spatiality component and multi-persona strategy a pplication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xpanded worldview centering on the brand IP. Second, multi-dimensional interactions mus t be provided for continuous activity. Third, the MZ gene ration and the brand must achieve cooperative co-creatio n. Fourth, it should enable a continuous multimodal exper ience. In order to expand contact points with the MZ gen eration who will lead the consumption culture in the futur e, it is necessary to reflect and actively utilize the multipersona strategy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한국어
디지털 기술 발전은 개인이 페르소나를 찾고 표현할 수 있 는 새로운 장소를 제공하게 되었다. 거울을 통해서만 자신을 확인할 수 있었던 과거와 달리, 메타버스 시대는 인간이 활동 할 수 있는 더 새로운 환경을 만들었고, 멀티 페르소나의 가 능성을 열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사회구성원들과 정서 적인 관계를 맺기 위한 장소로 보고 브랜드가 MZ세대와의 접점을 확장하기 위해 메타버스에서 멀티 페르소나의 전략적 가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진화된 멀티 페르소나 개념을 심리학적, 철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고찰하고.이를 통 해 멀티 페르소나에 긍정적이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려 는 MZ세대의 특성을 이해하였다. 메타버스 장소 구성 요소 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기반으로 멀티 페르소나 전략을 구성 하고 국내외 브랜드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메타버스가 MZ세대의 교류 장소가 되게 하려면 이들 을 소구하는 서사를 더해 브랜드 세계관을 구성해야한다. 둘 째, 다중모드적 경험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MZ세대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브랜드가 지향하는 가 치를 이들과 공동창조하는 ‘참여-창조-공유’의 장(場)을 만들 어야 한다. 넷째, 공감각적 경험을 극대화함으로써 실제 세계 에서 처럼 몰입도를 높여야 한다. 향후 소비문화를 이끌 MZ 세대는 메타버스시대에 더 진화된 방식으로 멀티 페르소나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음을 파악하였다. MZ세대 특성을 반영 하여 멀티 페르소나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메타버스 시대 멀티 페르소나 고찰
2.1. 심리학적ㆍ철학적 고찰을 통한 멀티 페르소 나의 이해
2.2. 멀티 페르소나 개념 및 이해
2.3. 메타버스의 개념과 유형
3. MZ세대의 특성과 온라인 사용 형태
3.1. MZ세대의 정의 및 특성
3.2. MZ세대의 유형 별 온라인 사용 형태
4. 장소 브랜딩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에서 멀티 페르소나의 전략적 가치
4.1. 메타버스 장소성과 장소 브랜딩의 진화
4.2. 메타버스 장소 브랜딩을 위한 멀티 페르소나 전략
5. MZ세대를 위한 메타버스 장소 브랜딩 적용사례
5.1. 사례분석 방법
5.2. 나이키(Nike)
5.3. 현대자동차(Hyundai Motors)
5.4. 삼성전자(Samsung)
5.5. 구찌(Gucci)
5.6 사례 종합 분석의 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