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Traditional Costume Designed by CLO 3D - Focusing on Material and Detail Expressions in Nokwonsam -
초록
영어
Traditional costume is a crucial factor that forms uniqu e national imag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cultural ass ets showing life patterns of a certain time. Here, as a wa y to preserve our culture, this study is aimed to restore traditional costume combined with digital-based IT techn ology and provide traditional images and videos as found ational materials to develop digital contents. Based on lite rature review, this study selected Nokwonsam as the sub ject and designed it with CLO 3D, the 3D virtual clothing system. Along with comparative analysis over the materi al expressions of Nokwonsam, this researcher examined problems found in the designing process of CLO 3D. Acc 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reproduce the subjec ts, queen’s Nokwonsam and princess Deokon’s Nokwonsa m, virtually, high similarity was found in forms, colors, a nd pattern expressions, and the forms that avatars wore were found to be excellent in estimating the costume siz e. Also,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changes of costum e silhouettes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3D space, but in terms of material expressions, a weakness that it took much time to make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stume wearing or texture expressions or change materi al colors through lander work was found. This study has verified the possibility to restore traditional costume usin g CLO 3D. This author expects that follow-up research will reproduce a variety of traditional costume including Nokwonsam and also costume relics as a way to utilize digital contents for virtual wearing as an alternative to re store and preserve cultural heritages.
한국어
전통의상은 그 시대의 생활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 화자산으로 독자성을 가진 국가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우리의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 털 기반의 IT기술과 결합한 전통의상을 복원하여 전통적 이 미지 및 영상을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기초 자료로 목적을 가 진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연구의상인 녹원삼을 선정하여 3D 가상착의 시스템인 CLO 3D로 제작하였다. 녹원 삼의 소재표현에 대한 비교분석과 함께 CLO 3D제작 과정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연구의상인 왕비녹원삼과 덕온공 주 녹원삼의 가상 재현 연구결과 형태, 색감, 문양 표현에 있 어서 유사도가 높았으며, 아바타에 착장된 형태는 의상의 비 율 표현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에 따른 의상 실루엣 변화 확인이 가능하였는데, 소재 표현에 있어 원단 착용 순서에 따른 표현, 질감 표현, 랜더 작 업을 통한 소재 컬러 변화 등에 있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 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CLO 3D를 활용한 전통복식 의 복원을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후속연구에서는 녹 원삼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통복식의 재현, 그리고 복식유물 의 복원이 이루어져 문화유산의 복원 및 보존의 대안으로 가상착의 디지털 콘텐츠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전통의상 녹원삼
2.2. 녹원삼의 문양
2.3. 전통의상 재현에 관한 선행연구
3. 연구의상 선정 및 방법
3.1. 녹원삼 제도 및 문양 제작
3.2. CLO 3D의 아바타 포즈 및 치수설정
3.3. 연구의상 제작 과정
4. 연구결과
4.1. 연구의상 녹원삼의 가상 재현
4.2. 3차원 가상착의의 재현 과정에 따른 특징
4.3. 전통의상 재현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활용방안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