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 및 실패사례 연구 - 충청남도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Agricultural Co-Brand in Korea - Focused on Basic Local Government Chungcheongnam-do -

김신애, 권기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co-brand in Korea. The backgro und of the study is that the government has a market ad vantage in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the entry of advanced agricultural co-brands such as FTAs into th e market. That is, a co-brand developed by 226 local gov ernments with a budget of 7 trillion won will confirm its dominance in the marke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co-brands, secondary data, an d interviews with public officials in charge.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targeted at Chungcheongnam-d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o-brands is that c onsumers have a history of exposure to co-brands and w inning grand prizes. Second, how systematically local go vernments manage the quality of local agricultural produ cts is also a very important key. Third, obtaining a natio nal certification mark for local agricultural products is als o a crossroads between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cobrand. Fourth, basic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join t agricultural brands and ordinances, and are sustainable in promoting them.. Fifth, the farmhouse organization tru sts the policies of basic local governments and actively in tends to manage the production quality of agricultural pr oduc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improve far m income and increase the degree of completion of policie s through consumer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과 실패사 례를 다루고자 한다. 연구의 배경은 정부가 FTA 등 선진 농 산물 브랜드의 국내시장 진입에 따른 우리 농산물 브랜드의 시장경쟁우위를 위해 7조원의 예산을 투입한 이래로 226개의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된 공동브랜드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성공과 실패의 갈림길에 있는가를 진단한다. 연구방법 은 농산물 공동브랜드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 2차 자료(기 초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자치법규정보시스템,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육성조례, 보도자료)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공 간적 범위는 충청남도 15개 시군(市郡)을 대상으로 한다. 연 구결과 첫째, 성공 및 실패한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차이는 소 비자에게 공동브랜드의 파워 리더십(홍보 노출빈도 및 브랜 드의 수상 이력) 여부에 의존적일 수 있다. 둘째, 기초지방자 치단체가 지역생산 농산물의 품질을 얼마나 시스템적으로 관 리하느냐도 매우 중요한 성공의 관건이다. 셋째, 지역생산 농 산물의 국가인증마크 획득도 공동브랜드의 성공 및 실패 길 의 기준이었다. 넷째,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농산물 공동브 랜드의 육성 및 조례를 제정하더라도, 단체장이 얼마의 홍보 예산이 책정되고, 지속성의 관리 여부도 성공 및 실패의 잣대 이다. 즉, 단체장의 리더십이다. 다섯째, 성공한 농산물 공동 브랜드는 농가 조직이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을 얼마나 신 뢰하고, 순응하는지의 적극적 자세도 기준일 수 있다. 본 연 구의 함의는 첫째, 성공한 농산물 공동브랜드란 소비자들로 부터 애착심 및 충성도를 유도하고, 지역농가들에게 농가소 득으로의 선순환 조건이 되어야 한다. 둘째, 공동브랜드의 지 적 재산권을 가진 기초지방자치단체는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특정 지역의 공동브랜드가 브랜드 포지셔닝될 수 있도록 예 산확보 및 홍보전략의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성공요인
2.2.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실패 요인
3. 충남의 공동브랜드 성공 및 실패 사례
3.1. 충남의 공동브랜드 현황
3.2. 충남의 공동브랜드 성공 및 실패사례
4. 결론
4.1. 연구의 요약 및 함의
4.2. 연구의 한계 및 제언(提言)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신애 Kim Shine. 성결대학교 경영학과
  • 권기대 Kwon Ki Dae. 국립공주대학교 산업유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